유망 블록체인 ’수이’ 도 유통량 논란… 또다시 문제로 떠오른 ‘허위 공시’

글로벌 유망 블록체인 플랫폼 ‘수이(SUI)’가 유통량 논란에 휩싸이면서 시장에서 또다시 투명한 공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7일(현지시각) 코인텔레그래프 등의 외신에 따르면 수이 재단 측은 미유통 물량으로 잡혀 있는 이용자의 스테이킹 보상과 락킹된 팀 토큰을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에 ‘덤프(물량 떠넘기기)’했다는 것을 부인했다.

재단 측은 “바이낸스를 포함해 그 어떤 거래소에서도 수이 스테이킹 보상이나 미유통 토큰을 판매한 적 없다”고 말했다. 28일 오후 3시 26분 업비트 기준 수이는 전날 대비 3.36% 하락한 921원을 기록 중이다.

수이는 메타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디엠(DIEM)’에서 파생된 프로젝트로, 지난 5월 국내 5대 원화마켓(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에 상장했다. 위임지분증명(DPoS) 블록체인으로, ▲낮은 처리 속도 개선을 위한 트랜잭션(데이터 상태를 변경하려는 작업) 처리 방식 ▲안전한 트랜잭션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합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최근 수이 재단 측이 의도적으로 토큰 발행 규칙을 잘못 표기하는 등의 수법으로 수이를 매도하려 한다는 의혹을 받은 바 있다. 수이 재단 측이 바이낸스에게 제출한 수이 토큰 분배 차트를 거짓으로 작성했으며 다른 웹3 프로젝트와 다르게 토큰 분배 차트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장에 따르면 재단 월렛 주소를 추적한 결과, 수이에 스테이킹된 약 30억개에 달하는 재단 스테이킹 물량 중 보상으로 제공된 약 2800만개의 수이가 바이낸스 핫월렛으로 이체된 것이 확인됐다. 재단 측이 매월 약 3300만개의 수이 코인을 보상으로 지급받고 있는데, 그중 80% 이상에 해당하는 물량이 바이낸스로 이체됐다는 주장이다.

가상자산 트레이더로 활동하고 있는 디파이스퀘어드는 “수이의 공급이 매일 증가할뿐더러, 제한 없이 해제된 물량이 쏟아지고 있다”며 “수이는 관련물량이 유통량이 아니라는 등의 책임 없는 말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이렇게 되면, 현재 알려진 유통량 6억개의 5%에 해당하는 물량 3300만개가 시장으로 배출되고 이는 시세 폭락 등의 악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28일 기준 코인마켓캡(위, 약 6억404만개)과 코인게코(아래, 약 5억2827만개) 기재된 수이의 유통량은 약 7500개의 차이가 있었다.

이 같은 논란이 이어지는 이유는 현재 글로벌적으로 통합된 유통량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수이 뿐만 아니라 앱토스 등의 다른 유명 프로젝트 또한 실제 유통량과 공시 유통량이 다른 경우가 많다. 같은 코인인데도 각각의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에 등록된 유통량이 다른 경우도 있다. 실제로 수이 또한 코인게코에는 5억2827만개가, 코인마켓캡에는 약 6억404만개가 유통되고 있다고 기재돼 있다.

이는 수이에 국한하지 않는다. 지난해 11월 국내 원화마켓에서 상장폐지됐던 위믹스 또한 코인마켓캡에 등록된 유통량 업데이트와 자사 분기보고서에 등록된 유통량 내용이 달랐다. 당시 위믹스 발행사 위메이드 측은 “자체 공시 시스템 구축을 통해 매분기 보고서 발간에서 위믹스 사용 현황을 정보를 제공했지만, 커뮤니케이션이 미흡했다는 점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 같은 논란은 몇몇 코인의 개별적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의 부재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한다. 한 코인 발행사 관계자는 “발행사가 코인 유통 계획을 코인마켓캡이나 코인게코에 공시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투명한 가상자산 공시에 대한 중요성이 떠오르고 있다. 국내에서는 특히 지난 5월 루나 사태로 인한 명확한 가상자산 유통량 기준이 부각되면서 투명한 유통량 계획 공시와 이행이 중요한 기준으로 제기되기 시작했다. 국내 5대 원화마켓이 회원사로 있는 디지털 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닥사) 또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거래지원 심사 공통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도 했다.

가상자산 분석 리서치 업체 쟁글은 “가상자산이 각국 정부의 규제하에 놓이고 있기에 투명한 공시의 중요성은 거스르기 힘들 것”이라며 “투명성과 신뢰 없이는 가상자산의 대중화가 이뤄질 수 없다”고 분석했다.

글.바이라인네트워크
<박지윤 기자> nuyijkrap@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