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2일, ‘디즈니플러스’가 온다… “월 9900원”

디즈니플러스(디즈니+)의 국내 공식 출시일이 확정됐다. 11월 12일. 가격은 월 9900원, 혹은 연 9만9000원이다. 이제 계산기를 두드릴 때가 왔다. 기존에 보던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중 어떤 걸 끊을 것이냐, 혹은 유지하고 여기에 디즈니플러스를 추가할 것이냐.

디즈니플러스는 ‘디즈니(Disney)’, ‘픽사(Pixar)’, ‘마블(Marvel)’, ‘스타워즈(Star Wars)’, ‘내셔널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 스타(Star) 등 디즈니 핵심 브랜드들의 영화 및 TV 프로그램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다.

국내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디즈니표 애니메이션은 물론,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MCU) 역시 디즈니플러스를 통해 공급된다.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가 공개한 디즈니플러스의 콘텐츠 목록은 대략 다음과 같다.

일간 바이라인

매일 아침
바이라인네트워크의 편지를 받아주세요.
재미있는 이야기와 최신 정보가 배달됩니다.

* 블랙 위도우, 어벤져스: 엔드게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캡틴 마블,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블랙 팬서,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등 마블 스튜디오 블록버스터 영화

*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등 영화 스타워즈 에피소드 전편

* 라이온 킹, 알라딘, 미녀와 야수, 주토피아, 겨울왕국 등 디즈니 대표 애니메이션 및 실사 영화

* 온워드, 몬스터 주식회사, 토이스토리 4, 니모를 찾아서 등 가슴 따뜻한 스토리의 픽사 애니메이션

* 고든 램지: 언차티드, 베어 그릴스의 러닝 와일드, 프리 솔로 등 내셔널지오그래픽의 다큐멘터리

* 킹스맨, 타이타닉, 데드풀, 그레이 아나토미, 크리미널 마인드, 위기의 주부들 등 ‘스타’ 브랜드에서 만나볼 수 있는 영화, TV시리즈 히트작

* 영화 엑스맨 시리즈, 나홀로 집에 및 심슨 가족 시리즈

* 로키, 완다비전, 팔콘과 윈터솔저, 만달로리안, 하이스쿨 뮤지컬 등 디즈니+ 오리지널 및 추후 공개될 다수의 국내 제작 콘텐츠

이중 ‘스타’ 브랜드는 국내에서 처음 선보인다. 성인, 청소년, 가족을 아우르는 시청자 층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장르의 일반 엔터테인먼트(general entertainment) 콘텐츠 제공을 목표로 한다. 미국 ABC 방송과 20세기 텔레비전, 20세기 스튜디오, 서치라이트 픽처스 등이 제작한 영화와 TV 프로그램들을 비롯해 국내외에서 제작되는 오리지널 시리즈를 독점 공급한다.

또 하나 중요한 포인트는 가격이다. 국내에서 월 9900원, 연간 9만9000원의 가격이 책정됐다. 경쟁사인 넷플릭스의 경우 베이직 요금이 월 9500원, 프리미엄 요금은 월 1만4500원이다. 왓챠는 7900원부터 1만2900원까지의 요금제를 갖췄다. 가격은 영상 화질과 해상도, 하나의 계정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 수 등에서 차이가 있다.

월트디즈니 컴퍼니 아태지역 DTC(Direct-to-Consumer) 사업 총괄 제이 트리니다드(Jay Trinidad)는 “최근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성공적인 론칭을 이어가고 있는 디즈니+를 한국에서도 선보일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이 콘텐츠와 미디어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디즈니만의 독보적인 스토리텔링과 혁신적인 콘텐츠로 지속적으로 시장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오상호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대표는 “조만간 국내 소비자들과 팬 여러분께 디즈니+를 선보일 수 있게 되어 기대가 크다. 디즈니+는 세계적인 크리에이터들이 선사하는 매력적인 스토리와 탄탄한 브랜드 및 프랜차이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모든 연령대의 이용자들에게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

[웨비나] 2024 일의 미래 DX- 협업툴 업무 혁신 전략!

  • 내용 : 디지털 전환 도구로서의 협업툴을 알아보고, 세계적 기업의 디지털 전환 성공사례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 일시 : 2023년 9월 21일 14시

LLM과 LangChain으로 만드는 차세대 챗봇

  • 내용 : 지금까지 발전해온 챗봇의 역사를 살펴보고, LangChain 이 도입된 이후 챗봇의 미래가 어떻게 바뀔지 논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일시 : 2023년 10월 5일 14시

많이 본 기사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