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불황에 실적도 따라 하락한 삼성
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로 AMD, 인텔 등 주요 반도체 기업이 타격을 입은 가운데, 삼성전자도 올해 3분기 실적 하락을 면치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삼성전자는 7일 잠정실적을 공개하면서 올해 3분기 매출 76조원, 영업이익 10조8000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1.55%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이 23.4%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해서도 매출은 2.73% 상승했지만 영업이익은 31.73% 하락했다.
최근 증권가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영향을 고려해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지속해서 낮추고 있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 컨센서스 전망치는 매출 78조원, 영업이익 11조9000억원 정도였다. 삼성전자는 이번 분기 컨센서스 전망치를 하회하는 성적을 받게 됐다.
삼성전자는 잠정실적 발표 시 부문별 실적을 공개하지는 않는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DS부문에서 6조원 정도의 영업이익을 냈다고 추정한다. 전분기 대비 DS부문 영업이익만 30% 감소한 것이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반도체 산업은 D램 가격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다. 사업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 D램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3분기 D램 가격은 전분기 대비 13~18% 가량 낮아진다고 전망했다. PC, 스마트폰 등 컨슈머 제품 수요가 낮아지면서 D램 재고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낸드플래시도 마찬가지다. 트렌드포스는 낸드플래시 시장에 대해서도 “현재 공급과잉 상태로, 올해 말에는 (낸드플래시) 가격이 15~20%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도 전망이 어둡기는 마찬가지다. 트렌드포스는 파운드리와 관련해서도 “지난 2년 간 반도체 수급난으로 반도체 생산라인 가동률이 100% 이하로 내려오지 않았는데, 최근에는 레거시(Legacy) 공정을 중심으로 90%대까지 가동률이 내려가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당장은 심각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점차 파운드리 활성도가 낮아지는 분위기가 감지된 셈이다.
실적 하락은 어느정도 예상되어 온 일이기도 하다. 삼성전자 측은 지난 2분기 실적발표 당시 “모바일 부문에서 수요 약세가 이어지고, 세계 경기침체 우려와 지정학적 이슈 등으로 서버 부문에서도 재고 조정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면서 “거시경제(매크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상황 모니터링을 통해 유연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전자는 시장 상황을 주시하면서도, 좀 더 장기적 관점으로 사업을 바라보겠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9월7일 평택캠퍼스 3공장을 가동했고, 4공장 착공 준비도 진행 중이다. 업황과 별개로 반도체 생산량은 조금씩 늘리겠다는 것이다. 언제 호황이 찾아올 지 모르기 때문이다.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 사장은 평택캠퍼스 3공장 기공식 때 “반도체 경기 사이클이 빠르게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불황기에 투자를 적게 하면 호황기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면서 “꾸준한 투자가 필요한 가운데 위기를 좋은 기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다만 그 호황이 언제 올 지는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다. 한 글로벌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내년이나 2024년쯤에는 시장이 회복된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라면서도 “워낙 시장 상황이 시시각각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함부로 장담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배유미 기자>youme@byli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