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채용] ‘AI가 더 객관적’ 면접관 컨디션에 휘둘릴 일 없어요

어려운 경제 여건으로 전 산업군이 채용 빙하기를 겪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대표적 수혜업종인 정보기술(IT) 업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주요 IT 기업들이 올해 보수적 인력 운용 기조를 밝혔습니다. 경력직 채용을 진행하다 돌연 중단하는 사례도 나왔습니다. 대기업 인재 쏠림에 스타트업은 걱정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이런 때일수록, 구인 기업과 구직자 모두에게 정보가 중요합니다. 이에 바이라인네트워크가 창립 7주년을 맞아 IT 채용 시장을 구인·구직 양면에서 살펴보는 [요즘채용]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채용 전문가와 현직 종사자가 전하는 일자리 시장 진단과 취·창업 노하우, 기술로 인한 시장 변화 그리고 흥미가 당길만한 직업 정보를 담아냅니다. <편집자 주>

  1. 청년 취창업요? 끝판 고수들에게 물었습니다
  2. 오렌지플래닛 찾았더니, 창업요? 일단 말립니다
  3. ‘창업하지 말라’더니 이 후끈한 분위기 어쩔~
  4. ‘차무식 인생은 없다’ 원티드랩의 AI 승부수
  5. 기업과 구직자, 서로 ‘맞팔’하는 시대
  6. ‘AI가 더 객관적’ 면접관 컨디션에 휘둘릴 일 없어요
  7. ‘구직자-기업-교육기관의 희비쌍곡선’ 전문가 해법은?
  8. “지역 특성 인재 양성해야…혜택은 더 강화”
  9. ‘프롬프트 엔지니어’라면 문송하지 않습니다
  10. ‘메이브’ 춤선 무엇? 가상 걸그룹 창조자를 만났습니다
  11. “AI 때문에 일자리 사라진다? 과장된 공포”

코로나19로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인공지능(AI) 면접은 공기업과 관공서 뿐만 아니라 민간 사기업까지 필수로 자리 잡은 모습이다. 챗GPT 같은 생성AI가 세상을 뒤집고 나서부터는 기업 내 조직 관리에 있어서도 AI는 자주 사용된다.

AI역량검사 솔루션 업체인 마이다스아이티에 따르면 지난해 AI역량검사를 도입한 기업은 총 630곳으로, 2019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기업들의 재계약률은 2021년 기준 93%다.

이처럼 AI 면접이 보편화되자 시장 내에서는 ‘공정과 신뢰’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어떤 기준으로 AI가 나를 탈락시키는지, 하다 못해 AI까지 나를 탈락시키는지에 대한 불만이 거세진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오히려 AI가 채용 시장 내 공정과 신뢰를 책임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회사가 인재를 채용할 때의 고충과, 구직자들이 채용 과정에서 느꼈던 불공정함을 AI가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육근식 제네시스랩 HR사업총괄 이사

육근식 제네시스랩 HR사업총괄 이사는 “AI 기술 도입으로 더 많은 지원자들에게 역량을 발휘할 기회가 주어졌다”고 분석했다.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는 AI 면접이 1차 과정인 서류 전형의 합격률을 높여, 채용 과정 내 지원자의 능력을 보여줄 기회를 더 늘려준다는 설명이다.

그는 “AI가 본인을 평가하는 게 기분이 나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AI가 없었다면 여러 비용적 측면에서 회사는 커트라인을 더 높게 잡을 수 밖에 없다”며 “오히려 많은 인원에게 AI 면접 기회를 줌으로써 지원자에게는 좀 더 공정한 채용을, 회사는 더 유망한 인재를 알아볼 기회를 갖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제네시스랩은 AI 면접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영상 분석 기술과 생성 기술로 실제 면접과 유사한 면접환경을 제공하는 AI 면접 솔루션 ‘뷰인터HR’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협회(TTA)가 진행한 사업을 통해 업계 최초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검증을 받기도 했다.

불공정한 채용, AI가 해결해준다고?

코로나19 영향으로 이직에 대한 부분에 대한 자유도도 높아졌고, 평생 직장도 사라졌다. 화상회의, 비대면 미팅 등이 활성화 되다보니 AI 면접도 덩달아 영향을 받게 됐다.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열풍도 있기도 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디지털 기술을 사회 전반에 적용해 전통적인 사회 구조를 혁신하는 것을 일컫는다. IT 기업 뿐만 아니라 많은 영역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했고 채용, 인적 자원(HR) 분야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리고 이는 채용 시장의 문제점과도 맞물렸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경험을 질문하는 구조화(BEI) 면접을 진행해왔는데, 넘어야 할 장애요인이 상당히 많았다. 육 이사는 “면접관도 사람인지라 그날 컨디션, 역량과는 상관 없는 지원자의 외모나 말솜씨 등으로 인해 편협적으로 지원자를 평가할 때도 많다”며 “이와 달리 AI는 객관적으로 일관성 있게 평가하기에 공정하다는 특징이 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대부분의 면접관들은 현업 일을 하다 갑자기 불려나가 면접을 보는 상황이 많다. 전문적인 채용 평가를 위한 교육을 받지 않은 면접관들이 객관적이지 못한 평가를 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간 면접관은 채용 과정을 데이터로 기록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육 이사는 이 부분을 AI가 해결할 수 있다고 강변했다. 육 이사는 “입퇴사가 많은 기관이 특징이 인재 선발에 전문화된 인력이 없다는 것”이라며 “시간과 비용 절약, 데이터 분석 등의 측면에서 AI 솔루션은 채용 절차에 매우 효율적”이라고 전했다.

AI 면접, 회사와 구직자 중 누가 더 이득일까?

물론 아직까지는 채용 과정에서 AI 기술 활용은 회사의 니즈가 더 큰 상황이다. 시간, 비용적인 측면 그리고 좀 더 많은 지원자를 공정하게 평가하고 회사에 맞는 인재를 뽑고 싶어하는 사측의 의지가 더 강하기 때문이다. AI를 활용한 채용 시장이 커진 것 또한 이에 기인한 것도 맞다.

그렇지만 AI 기술이 지원자에게 불리한 것만은 ‘단연코’ 아니다. 육 이사는 “오히려 요즘은 AI 활용을 잘 하는 회사가 채용을 잘한다는 인식도 퍼지고 있다”며 “대면 면접에서 느꼈던 불공정이 AI 면접에서 해소되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인간 면접관은 면접관 별로 상이한 눈높이를 가지는 등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렵고, 모든 지원자의 역량수준을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AI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물론,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면접 과정에서 전반적인 분위기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 지원자의 불안감이 더 커진다는 제한은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육 이사는 지원자들에게 AI 로직을 일부 공개한다면 지원자들의 불안 감소에 도움이 될 거라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제네시스랩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원자들에게 관련 AI 로직을 일부 공개하고 있다”며 “최근 화두되는 AI의 신뢰성과도 같은 맥락으로, AI 학습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 채용에 대한 공정성을 높일 수 있다”고 전했다.

“AI 면접도 똑같은 면접… AI 면접을 위한 연습은 비효율적

그렇다면 구직자들은 AI 면접을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 육 이사는 “AI 면접은 인간 면접관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면접관이 면접에 최대한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라고 말했다. 각 기업마다 AI 면접을 활용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AI 기술에 맞춰 면접을 준비하는 것보다 자신의 역량과 경험을 지원한 회사의 인재상과 맞는지를 고민하는 게 최고의 AI 면접을 위한 준비라는 말도 덧붙였다.

채용 암흑기라도 좋은 인재를 찾으려는 기업의 움직임은 활발히 일어나가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육 이사는 “채용 규모가 줄었을지라도, 회사의 비전을 깨우는 우수한 인재를 뽑고자 하는 기업들의 의지는 더욱 커져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코로나 전 기업들은 지원자의 인성 측면을 더 중요시 봤다면 그 이후부터 커뮤니케이션 능력, 문제해결력, 학습력 등의 직무 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호하는 측면이 강해졌다”고 말했다.

글.바이라인네트워크
<박지윤 기자> nuyijkrap@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