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일숙 “만화가 되려면 만화학과 피해라”

만화는 재미와 웃음을 주는 콘텐츠지만, 만화계가 걸어온 길은 굴곡지다. 지난 50년간 만화계는 끊임없이 심의나 불법복제와 싸워야 했다. 표현의 자유를 위해 오랜 시간 법원에서 다퉈야 했고, 때로는 ‘청소년 일탈’의 원인으로 지탄받았다. ‘혼자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한 만화가들이 함께 목소리를 내려 만든 곳이 ‘한국만화가협회’다. 지난 1968년 시작해 올해로 50년이 됐다.

역대 만화가협회장을 역임한 박기정(1, 3대), 이두호(20대), 김수정(21대), 이현세(23대), 이충호(26대), 윤태호(27대) 작가와 신일숙 만협 부회장, 그리고 연제원 웹툰작가협회장을 지난 11일 열린 ‘한국만화가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식’에서 만나 짧은 인터뷰를 나눴다. 이들에게 각자의 협회장 시절 가장 중요했던 만화계 이슈와, 앞으로 만화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 무엇인지를 물었다.

‘아르미안의 네딸들’ ‘리니지’ 등으로 한국 만화계에 한 획을 그은 신일숙 작가는 현재 카카오페이지에서 신작 ‘카야’를 연재 중이다. 거대한 서사를 담은 이 만화는 신 작가의 세 번째 역작으로 소개되는데, 지금까지 55만 명의 독자가 읽었다. 종이출판에서 웹툰으로 건너온 그의 작품을 독자들은 여전히 찾는다. 신 작가로서는 무사히 ‘과도기’를 건너는 중이다.

그러나 모두가 신 작가처럼 웹툰으로 잘 넘어오는 것은 아니다. 동료 작가 중에서는 ‘컴퓨터로 만화를 만들고, 인터넷에서 독자를 만나는 법’을 모르는 이들도 있다. 독자는 ‘돈을 내고 웹툰을 보는 것’을 익혀가는 중이고, 웹툰 작가들은 ‘매주 연재를 해야 하는 살인적 스케줄’에서 자신의 복지와 건강을 챙겨야 한다는 것을 차츰 깨닫고 있다. 만협 역시 여성 작가들의 참여가 조금씩 늘어간다. 그러니까, 지금 만화판은 신 작가의 표현에 의하면 대부분 과도기에 있는 셈이다.

신일숙 작가

 

만협에 여성 작가님들의 참여가 저조한 것 같아요

참여를 하기는 하는데, 여자들이 처음에는 조금 적긴 했었어요. (신 작가가 이사로 합류할) 당시에는 여자 이사가 한 명밖에 없더라고요. 제가 들어올 때 한 분의 여성 작가가 같이 들어왔고, 그 뒤에도 공석만 생기면 모두 여자분들이 들어왔어요. (* 27기 이사진에는 신일숙 작가 외에도 김인정, 문흥미, 이시현 등 여성 작가들이 포진되어 있다.) 그동안 남자들만 교류가 많이 있었으니까, 여자 작가들은 잘 몰라서 추천이 잘 안 된 거죠. 여자작가들이 들어가니까 여자작가들이 추천이 자주 되는 거예요. 그런 식으로 되는 거죠.

중요한 부분이네요. 앞으로 여성 작가님이 더 많이 참여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여성분들이 유사시 같은 때는 열성적으로 참여하는데, (평소에는) “내가 뭐 그런 곳에…” 이렇게 생각하시거든요. 그러기보다는 “조그마한 일을 일 년에 한 번씩 하더라도 내 힘이 필요하면 하겠다” 싶으면 와주시면 좋죠.

선생님이 보시기에 지금 만화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해결해야 할 문제는 무엇일까요?

이제 거의 웹툰이 만화가 됐죠. 그러다 보니까 출판 시장은 거의 죽었다고 보면 되고. 기존에 있었던 만화가들이 웹툰으로 옮겨가는 과정에 있는데 그 만화가들은 그림 실력은 좋은데 컴퓨터 다루는 게 약하다거나, 컴퓨터에서 보게끔 하는 게 약하다거나 그런 게 좀 있죠. 지금은 그런 시대고, 조금만 더 지나면 처음부터 컴퓨터를 잘하는 세대들만 만화를 그리게 되는 거겠죠.

지금은 과도기라고 볼 수 있겠네요?

그렇죠. 바로 그 과도기를 잘 넘겨야죠. 만화가로서 데뷔하기에는 조금 힘들지만 만화를 하고는 싶고, 이런 사람들이 저비용으로 많이 시작했었던 게 웹툰의 시작이었어요. 우리 기성 만화가가 보기엔 그쪽은 아마추어 판인 것 같기도 하고 그래서 안 했던 건데,  그 사람들(웹툰 작가들)이 열심히 해주고 오랫동안 이어가면서 (시장이 성장했죠). 우리가(기성작가들이) 한동안 고심을 했던 게, “웹툰이라는 것은 공짜로 보는 것”이라는 생각이 사람들에게 생길까봐였어요. 그런 인식이 생기면 이쪽(종이 출판)에선 돈을 받고 있지만, 사람들은 “공짜로도 볼 수 있는 걸 왜 돈을 주고 봐” 이렇게 생각할까 봐 잘 안 뛰어들었던 거죠. 그러다 출판업계가 완전히 죽으면서 웹툰으로 많이 뛰어들게 된 거죠. 그렇게 하면서 점점 웹툰의 질이 자꾸 올라간 거예요. 지금은 혼자 하기 힘든 그런 작품들이 웹툰에서 많이 나오고 있어요. 팀으로만 만들 수 있는 작품도 많이 나오고요.

예를 든다면요?

이제 작가 한 명을 갈아 넣는 게 아니라 팀이 갈아 넣어지는 거죠. 그럴 정도로 좋은 작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여기에서의 문제점이 뭐냐하면, 독자들이 한 주에 한 편씩 보는 것이 습관이 되고 있다 보니 작가가 한 주에 하나를 그려야 하는 거죠. 그건 진짜 힘든 일이잖아요, 팀이라고 하더라도요. 한 주에 하나를 하게 되면 아무래도 퀄리티가 내려가게 되는 현상이 생겨요. 또, 작가들의 복지에 대해서도 많이 약해져요. 돈은 받지만, 복지는 약해지면서 점점 몸에 이상이 생기는 작가들이 많이 생기는 거예요. 좋은 작품을 더 많이 보고 싶으면 작가의 건강 유지를 시켜줘야 한다는 점과, (주마다 보고 싶어 하는) 독자들의 마음이 질서를 잡아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고요. 여러모로 과도기예요, 현재가.

후배 만화가들한테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요?

만화가 다양하게 나오려면 다양한 경험을 가지는 게 필요하잖아요. 그러니까, 제가 보기에는 만화학과를 많이 안 가셨으면 좋겠어요. 만화학과는 만화를 배운다기보다 만화 쪽을 배운다고 봤으면 좋겠어요. 만화 쪽과 관련한 다양한 일들이 생겨나고 있으니 관련한 직업을 가지실 분이 만화학과를 가셨으면 좋겠고, 만화를 그리는 것을 (학교에서) 배우는 것은 아닌 것 같거든요. 다양한 경험을 가진, 예를 들어 사회에 나가서 직장을 가지고 있다던가 그러면 자기가 아는 직업적인 부분을 만화화하기 쉽겠죠.

만화도 샘하고 비슷한 거라서, 자기의 창작력이 차올라 있어야 해요. 처음에는 창작의 샘이 차올라 있는데 이걸 쓰면 자꾸 줄어들거든요. 새로운 경험이 들어와야 샘이 차요. 새로운 경험이 안 생기고 자꾸 퍼다 쓰기만 하면 샘이 마를 수밖에 없죠. 후배분들께서는 샘을 채우기 위해 노력하셔야 하고, 몸 상태를 항상 건강하게 챙기셔야 해요. 만화가는 혼자 오랫동안 있어야 하는 직업이잖아요. 그리고 내가 즐겁게 일할 것, 그것이 굉장히 중요할 것 같아요. 쉬는 기간도 꼭 필요하고요.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