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정 “종로에 함께 나와준 시민들, 지금도 너무 고맙다”

만화는 재미와 웃음을 주는 콘텐츠지만, 만화계가 걸어온 길은 굴곡지다. 지난 50년간 만화계는 끊임없이 심의나 불법복제와 싸워야 했다. 표현의 자유를 위해 오랜 시간 법원에서 다퉈야 했고, 때로는 ‘청소년 일탈’의 원인으로 지탄받았다. ‘혼자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한 만화가들이 함께 목소리를 내려 만든 곳이 ‘한국만화가협회’다. 지난 1968년 시작해 올해로 50년이 됐다.

역대 만화가협회장을 역임한 박기정(1, 3대), 이두호(20대), 김수정(21대), 이현세(23대), 이충호(26대), 윤태호(27대) 작가와 신일숙 만협 부회장, 그리고 연제원 웹툰작가협회장을 지난 11일 열린 ‘한국만화가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식’에서 만나 짧은 인터뷰를 나눴다. 이들에게 각자의 협회장 시절 가장 중요했던 만화계 이슈와, 앞으로 만화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 무엇인지를 물었다.

둘리 아버지 김수정 선생은 지난 2000년부터 2년간 21대 한국만화가협회장을 맡았다. 한국 만화계가 표현의 자유를 위해 격렬한 싸움을 벌일 때였다. 선생은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함께 거리로 나서준 시민들이 생각나서 고맙다고 했다. 10분이 채 안 된 짧은 인터뷰 시간에 ‘고맙다’는 말을 세 번이나 했다. 지난 50년간 단 한 번도 평탄한 적 없었던 만화계가 이만큼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만화를 사랑해준 독자들이 있어서라는 걸 잊지 않겠다는 뜻이다.

계속해 사랑받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자정작용이 필요하다는 것도 강조했다. 예전과 비교해 표현의 자유가 생겨났고, 작가들이 창작활동 하기엔 좋아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우려되는 부분은 있는 법이다. 그 어떤 권리나 편익도 남에 의해 주어지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것이, 후배들로부터 존경받는 선배의 조언이다. 그리고 또 하나. 자신의 성공을 ‘운’으로 돌리는 겸손함도 김수정 선생이 가진 미덕이다.

김수정 작가

선생님이 협회장을 맡으셨을 때가 만협 세대교체의 분기점이 됐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만화가협회가 창립한 지 50주년이 됐잖아요? 어떤 해에도 평탄한 해는 없었어요. 반목도 있었지만, 결정적인 순간에는 다 같이 단합이 돼서 고비들을 잘 이겨왔거든요. 제가 (협회장을) 할 때도 만화 표현의 자유 문제 같은 여러 악재가 많았는데 그런 부분에서 지금 제가 고맙게 생각하는 거는, 저희가 종로니, 뭐니 이런 데서 집회를 할 때 정말 많은 분들이 참여를 해주셨어요. 학생들부터 해서.

아, 만화가가 아닌 분들도요?

네, 만화가가 아니더라도요. 종로가 한 번 뒤집어졌던 적이 있었는데, 표현의 자유에 대한 욕구가 굉장히 강할 때였거든요. 그때 그  자리에 참석했던 분들, 지금도 참 고맙지요.

만화가 그만큼 사랑을 받는 콘텐츠라는 이야기잖아요?

그렇죠. 그때만 해도 만화를 사회적으로 색안경을 끼고 보는 사람들이 꽤 많았는데, 그러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만화가 가진 창작성, 예술성을 인정해주시는 분들도 꽤 많았거든요. 호응을 많이 해주셨고요. 또 각 대학이라든가, 그런 쪽에서도 굉장히 많이 지지를 해주셨어요. 그런 게 지금 생각해도 가장 감동적이었고, 아마 그때가 표현의 자유의 한 분기점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어 늘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선생님, 지금의 환경은 어떻게 보시나요?

어떤 부분에서는, 그때가 오프라인 잡지라든가 책을 통해서 거의 모든 것이 오픈되었던 상태잖아요? 그런데 지금은 반대로 사이트나 인터넷을 통해서 알게 모르게 구석구석 숨어 있는 것들이 (문제가) 있죠. 어떤 부분에 대해서 걱정하는 부분이 있는 것들로 제가 알고 있거든요. 그런데 제일 중요한 것은, 작가 스스로가 그런 부분을 자정하고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거죠. 인위적으로 제삼의 세계나 타의에 의해서 그런 부분들이 맺음 되는 거는 옳지 않다고 보거든요. 약간 우려되는 부분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스스로 정화되고 자정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둘리가 오랫동안 사랑받을 수 있는 이유는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저 개인적으로 봐도 그렇고 둘리로 봐서도 그렇고 운이라고 봐야 하죠. 지금껏 많은 분께서 사랑해주시는 이유는 그런 것 같아요. 그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이 만화라는 것을 굉장히 좋아한다고요. 그리고, 어떤 부분에서는 만화를 통해서 카타르시스를 느끼기도 하고요. 사실 둘리가 태어났을 때만 해도 만화가 창작이나 표현의 자유 부분에서 그렇게 자유롭지 않을 때였거든요. 그때 둘리가 나오면서 가감 없이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이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은 것 같아요.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