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D2SF, ‘토르’ 출신 자율주행 스타트업 ‘웨어러블에이아이’에 투자
국내 1세대 자율주행 스타트업 ‘토르드라이브’의 공동창업진이 재창업한 ‘웨어러블에이아이’가 쿼드벤처스, 네이버D2SF 등으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네이버 스타트업 투자 조직 D2SF는 20일 AI 기반 자율주행 스타트업 웨어러블에이아이(대표 백두산)에 신규 투자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4년 1월 창업한 웨어러블에이아이의 첫 투자 유치로, 이번 시드 라운드는 쿼드벤처스가 리드하고 네이버 D2SF와 포스텍홀딩스가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웨어러블에이는 자기 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을 활용해 실시간 도로 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환경 변화를 스스로 학습·최적화하는 AI 기반의 자율주행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데이터를 클라우드가 아닌 디바이스에서 직접 처리하고, 주행 지역과 경로를 변경할 수 있어 고정밀 지도와 같은 인프라의 도움 없이 즉시 주행 가능한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 방식을 지향한다.
웨어러블에이아이는 국내 1세대 자율주행 스타트업 ‘토르드라이브’의 공동창업진이 재창업했다. 자율주행 풀스택 기술을 갖추고 있고, 한국과 미국에서 기술 상용화 및 현장 적용 경험을 두루 축적했다. 이 경험을 토대로, 웨어러블에이아이는 창업 4개월 만에 hy모빌리티, 에이텍모빌리티와 컨소시엄을 구축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출국장 대상의 자율주행 운송차량(AM) 도입 사업을 수주했다.
현재 인천국제공항에서 승객 운송을 위한 실내 자율주행 차량 10대를 테스트 주행 중이며, 2025년 상반기 내 정식 현장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최근 국제공항이나 항공사는 승객의 이동 효율과 경험 개선을 위해 실내 자율주행 솔루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웨어러블에이아이는 시장 수요를 기반으로 국제공항을 1차 타깃으로 삼고 있으며, 향후 대형 쇼핑몰, 리조트, 골프장, 캠퍼스, 산업시설 등의 실내외 자율주행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할 계획을 세웠다.
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은 “자율주행 기술이 점차 다양한 공간과 산업으로 확장되고 있는 가운데 기술의 유연성과 확장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웨어러블에이아이는 뛰어난 기술력과 풍부한 현장 경험을 갖춘 팀으로, 실내 및 LSV(저속이동차량) 주행 시장을 빠르게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
[컨퍼런스] AI 에이전트와 지능형 인터페이스 시대
◎ 일시 : 2025년 3월 27일 오후 12:30 ~
◎ 장소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ST Center (과학기술컨벤션센터) 지하 1층 대회의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