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상반기 영업익 3182억원으로 최대실적
카카오뱅크가 상반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카카오뱅크는 7일 2024년 상반기 경영 실적발표에서 지속적인 고객 기반 강화, 뱅킹 · 플랫폼 비즈니스 등 전 부문의 고른 성장 포용금융 등을 바탕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뱅크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은 3182억원, 당기순이익은 2314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8.2%, 25.9% 증가했다.
2분기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2분기 대비 각각 51.9%, 46.6% 증가한 1698억원과 1202억원으로 집계됐다.
비이자 수익은 수수료, 플랫폼 수익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상반기 카카오뱅크의 수수료, 플랫폼 수익은 전년 대비 9.8% 증가한 1417억 원을 달성했다. 특히 플랫폼 수익이 지난해보다 19% 늘어나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말 출시한 ‘신용대출 비교하기’의 성장을 통해 대출 플랫폼으로서의 영향력도 확대하고 있다. 상반기 카카오뱅크 앱에서 제휴 금융사의 대출을 실행한 건수와 금액은 각각 10만 4천 건, 1조 2,938억 원으로 모두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카카오뱅크의 상반기 말 수신, 여신 잔액은 각각 53조 4000억원과 42조 6000억 원이다. 저원가성 예금 비중은 56.9%로 증가해 카카오뱅크만의 경쟁력 있는 조달 구조를 유지하면서 은행권 평균(38.5%)과의 격차를 벌렸다.
2분기 중·저신용 대출 비중은 32.5%로 역대 최대 수치를 기록했다. 상반기 말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대출 평잔(평균잔액) 및 비중은 약 4조 7000억원, 32.5%으로 역대 최고치다.
카카오뱅크는 소상공인 금융도 중요하게 보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방안’에 동참해 총 372억원을 지원하기로 했으며, 현재까지 약 300억 원 규모의 지원을 완료했다.
카카오뱅크는 중장기적으로 개인사업자 담보대출을 출시하는 등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매출 및 부가세 관리 등 서비스를 선보임으로써 사업자 전용 플랫폼으로서의 역량 또한 갖춰나간다는 계획이다.
포용금융과 함께 건전성도 확보했다. 중저신용대출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안정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해 2분기 연체율은 전분기 수준인 0.48%를 유지하며 양호한 자산 건전성을 보였다. 대손비용률(CCR)은 선제적 충당금 적립 등의 영향으로 3개 분기 연속 개선되며 지난해 2분기 말 대비 22bp 하락한 0.53%를 기록했다.
순이자마진(NIM)은 2.17%를 기록해 지난 분기 수준을 유지했으며, 영업이익경비율(CIR)은 지난해 말 37.3%에서 35.4%로 개선됐다.
카카오뱅크는 하반기에도 다양한 신규 상품 및 서비스를 출시해 고객 활동성과 트래픽을 확대하고 플랫폼 비즈니스를 다각화해 금융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