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노티시아, 한국어 논리 추론 AI 모델 ‘DNA-R1’ 공개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통합 솔루션 전문기업 디노티시아가 한국어 논리 추론에 최적화된 대형언어모델(LLM) ‘DNA-R1’을 공개했다고 6일 밝혔다. 한국어로 추론 전 과정을 출력할 수 있는 모델은 DNA-R1이 국내 최초다.

DNA-R1은 140억개의 매개변수(파라미터)를 갖춘 한국어 특화 모델이다. 한국어 AI 성능 평가 지표인 KMMLU 벤치마크에서 DNA-R1 성능 수치는 59.9%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동급 모델(50.50%) 대비 약 18.6% 향상된 수준이다.

지난해 디노티시아는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이해하는 고성능 LLM 파운데이션 모델 ‘DNA: Dnotitia AI’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이번 DNA-R1은 논리적 추론과 문제 해결 능력을 한층 강화한 모델로, 텍스트 생성뿐만 아니라 고도화된 분석과 복합적 사고까지 수행할 수 있다. 기존 AI 모델이 문장 생성과 번역에 초점을 맞췄던 반면, DNA-R1은 ▲수학 문제 해결 ▲코드 작성 및 디버깅 ▲논리적 사고 및 분석 ▲한국어 문맥 이해 등 고차원적인 작업도 가능하다.

DNA-R1 학습절차 (제공=디노티시아)

디노티시아는 AI 모델의 논리적 사고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세 단계의 학습 프로세스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먼저 한국어 데이터를 대량으로 학습해 문장 이해 능력을 확보했다. 이후 논리적 사고에 특화된 데이터를 추가로 학습시켜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켰다. 마지막으로 AI가 스스로 정답을 도출할 수 있도록 보상 학습 기법을 적용해 한국어와 영어로 더욱 정확하고 일관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도록 강화 학습을 진행했다. 회사는 이를 통해 DNA-R1이 단순한 지식 제공을 넘어 복잡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 AI 모델로 진화했다고 주장했다.

디노티시아는 “DNA-R1 모델을 활용하면 한국어로 제시된 복잡한 문제도 쉽고 명확하게 풀이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우수한 AI 모델을 계속해서 선보이며 오픈소스 생태계의 확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DNA-R1은 글로벌 AI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오픈소스로 공개됐다. 이를 통해 AI 연구 및 개발자는 논리적 추론이 가능한 한국어 AI 모델을 활용하고, 다방면에 응용함으로써 기술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병찬 기자>bqudcks@byline.network

[컨퍼런스] AI 에이전트와 지능형 인터페이스 시대

◎ 일시 : 2025년 3월 27일 오후 12:30 ~
◎ 장소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ST Center (과학기술컨벤션센터) 지하 1층 대회의실 2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