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통신사용 아웃포스트 랙·서버 제품군 공개
아마존웹서비스(AWS)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서 고성능 네트워크 집약적 워크로드를 위한 AWS 아웃포스트 랙과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 워크로드를 위해 설계된 AWS 아웃포스트 서버를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새로운 제품군은 통신사들이 AWS 인프라 및 서비스를 확장해 저지연, 고성능 처리 및 실시간 성능이 요구되는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기능을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두 제품 모두 올해 말부터 정식 출시될 예정이며, 5G 코어 사용자 평면 기능(UPF), RAN 중앙 집중식 유닛(CU) 및 RAN 분산 유닛(DU) 워크로드를 지원한다.
AWS 아웃포스트 랙과 AWS 아웃포스트 서버는 기존 네트워크를 현대화하고 가상화된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 배포를 가속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AWS 리전, AWS 로컬존 및 AWS 아웃포스트를 포함한 AWS 인프라 및 서비스 연속성은 통신 기업의 저지연 요구 사항, 마이그레이션 및 현대화, 데이터 레지던시, 로컬 데이터 처리와 같은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새로운 AWS 아웃포스트 랙은 고성능 및 네트워크 집약적 온프레미스 워크로드를 위해 설계됐으며, 5G 코어 UPF, RAN CU 워크로드의 증가하는 처리량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비용 효율적인 트래픽 확장 기능을 제공한다. 이동통신사는 지연 시간, 처리량 및 트래픽 집계 요구 사항에 따라 워크로드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하여 향후 진화된 5G 사용 사례를 실현할 수 있다. 운영자는 AWS 인프라, AWS 서비스뿐만 아니라 API, 도구 및 공통 CI/CD 파이프라인을 활용해 워크로드가 배포된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관된 클라우드 경험은 운영 부담을 줄이고, 통합 비용을 절감하며, 새로운 기능 개발 속도를 극대화한다.
AWS 아웃포스트 랙은 아마존 EC2 4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기반(사파이어래피즈) 베어메탈 인스턴스와 고성능 베어메탈 네트워크 패브릭을 갖췄다.
AWS 아웃포스트 랙의 새로운 아마존EC2 베어메탈 인스턴스는 AWS 리전에서 운영되는 최신 EC2 인스턴스와 동일한 AWS 니트로 시스템을 기반으로 보안 및 성능을 대폭 향상하며, 분산된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이를 확장할 수 있다. 아마존 EKS 사전 검증 애드온을 지원하여 5G 네트워크 기능의 배포 및 관리를 자동화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AWS 아웃포스트를 사용하면 일부 AWS 서비스를 로컬에서 실행하고, 상위 AWS 리전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마존 클라우드와치, AMP, 아마존 관리형 그라파나 등 단일 AWS 서비스 세트를 활용해 전체 5G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AWS 분석 및 머신러닝 서비스(아마존 아테나, 세이지메이커 등)를 사용해 네트워크 메트릭 데이터에 대한 고급 분석을 수행할 수 있어 5G 네트워크 운영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새로운 AWS 아웃포스트 서버는 클라우드 RAN 워크로드를 위해 설계됐으며, 가장 엄격한 폼 팩터, 환경 요건, 동기화, 전송 지연 및 처리량 요구 사항을 충족해 RAN 셀 타워와 같은 최외곽 엣지에서 중요한 RAN DU 워크로드를 호스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WS 아웃포스트 서버는 클라우드 인프라 및 서비스를 활용해 가상화된 RAN 솔루션을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통신사의 5G 도입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수익 창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해당 서버는 노키아와 협력으로 개발됐으며, AWS는 향후 RAN 공급업체와 협력하여 가속 카드 통합 옵션을 추가할 예정이다.
새로운 AWS 아웃포스트 서버는 L1 가속 카드, 하드웨어, 운영 체제 및 컨테이너 서비스(CaaS)를 사전 통합해 RAN 인프라의 다층적 구성 요소를 통합, 배포 및 관리하는 운영 부담을 줄인다. AWS 아웃포스트 서버를 통해 AWS 리전에서 제공하는 200개 이상의 AWS 서비스를 활용하여 새로운 수익 창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레거시 인프라에서 소프트웨어 중심 및 마이크로서비스 기반 RAN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간소화해, 광범위한 분산 셀 사이트에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을 자주 배포할 수 있다.
AWS 아웃포스트 서버는 AWS 그래비톤3 기반 아마존 E2C 인스턴스를 사용해 높은 컴퓨팅 성능과 용량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RAN 및 엣지에서의 AI 추론을 위한 추가적인 컴퓨팅 옵션도 지원한다. RAN 공급업체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노키아와 같은 신뢰할 수 있는 무선 공급업체로부터의 높은 무선 성능, 기능 일치성, 스펙트럼 및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한다. 이는 대규모 5G 통신사를 위한 필수 요소다.
텔레포니카, 오렌지, 듀 네트워크 등이 올해 후반 테스트 검증을 위한 시범 프로젝트를 시작할 예정이다.
데이브 브라운 AWS 컴퓨팅 및 네트워킹 부문 부사장은 “새로운 AWS 아웃포스트 제품군을 통해 AWS 클라우드 컨티뉴엄이 5G 네트워크의 최외곽까지 AWS 클라우드 환경을 확장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통신사는 AWS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5G 코어 및 5G RAN을 포함한 전체 5G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AWS 아웃포스트 랙은 비용 효율적인 용량 확장을 지원하는 새로운 아키텍처를 도입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트래픽을 처리하는 5G 네트워크의 증가하는 처리량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며 “AWS 아웃포스트 서버는 개방형RAN 및 가상화 RAN 아키텍처를 지원하며, 기존 어플라이언스 기반 5G RAN과 동일한 기능과 성능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김우용 기자>yong2@byline.network
[컨퍼런스] AI 에이전트와 지능형 인터페이스 시대
◎ 일시 : 2025년 3월 27일 오후 12:30 ~
◎ 장소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ST Center (과학기술컨벤션센터) 지하 1층 대회의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