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겜BN] ‘블루 아카이브’, 서브컬처 본진 뚫고 6500만달러 쾌거
조용하다가 큰 거 한방 나오는 산업계가 바로 게임입니다. 회사 자존심을 건 AAA(블록버스터) 게임도 보이고, 스팀 등으로 플랫폼을 다변화하려는 움직임도 관측됩니다. 잘 만든 외산 게임도 국내로 넘어오네요. 드물지만 역주행을 기록 중인 곳도 있습니다. 물밀듯 들어오는 중국산에 밀린 대한민국 게임 시장이 달아오르길 바라는 의미에서 응원을, 때로는 비판을 더해 ‘핫겜 바이라인네트워크(BN)’ 연재를 시작합니다. 2025년에 주목할 기업과 게임 소개도 덧붙입니다. <편집자 주>
넥스게임즈의 간판 서브컬처 게임 ‘블루 아카이브’가 시프트업의 ‘승리의 여신: 니케’를 이어 또 하나의 금자탑을 쌓았다.
<관련기사: ‘니케’ 누적 매출 10억달러 금자탑…센서타워 조사>
시장조사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블루 아키이브 출시 후 4년여 동안 전 세계 누적 다운로드 1300만, 누적 매출 약 6억5000만달러(약 9360억원)를 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
블루 아카이브는 일본의 가상 학원 키보토스를 배경으로 이용자가 선생님이 돼 그곳에서 벌어지는 사건과 미스터리를 해결해 가는 내용을 담고 있다. 최근 4주년 이벤트가 일본 이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모바일 게임 매출 1위에 다시 오르기도 했다.
게임의 누적 매출의 73.1%는 미소녀 캐릭터 팬덤이 뚜렷한 서브컬처 게임의 본진인 일본(현지 퍼블리셔 요스타)에서 발생했으며, 한국(10.5%), 미국(6.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일본에서 다운로드당 매출(RPD)이 약 110달러에 달했다. 주요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치로 전 세계 평균치인 50달러에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승리의 여신: 니케와 마찬가지로 출시 초반보다 서비스 약 2년 뒤 최고 성과를 보인 것이 공통점이다. 2023년 1월, 출시 후 두 번째로 높은 월매출을 달성했고, 그해 8월에는 최고 월매출을 경신했다.
블루 아카이브의 N주년 이벤트 파워는 막강했다. 2025년 1월 20일에 시작한 4주년 특별 이벤트에선 일본 양대 앱마켓 합산 모바일게임 하루 매출 1위에 올랐다. 1월 28일과 29일 또 다시 1위 자리를 꿰차며 공고한 인기를 과시했다. 센서타워는 2025년 1월, 일본 출시 이후 4번째로 높은 월매출을 달성했다고 분석했다.
센서타워 집계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일본 내 모바일게임 매출 상위 10위권 내 서브컬처 게임이 6개나 포함됐다. 최근 몇 년 간 글로벌 매출 상위권에 오른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을 살펴보면, 일본 시장은 대부분의 게임에서 가장 높은 매출 기여도를 기록한 것도 공통점이다.
블루 아카이브가 경쟁이 치열한 서브컬처 시장에서 출시 이후 현재까지 14위에 오르며, 쟁쟁한 타이틀 사이에서 뚜렷한 입지를 구축했다는 게 센서타워 평가다. 이용자층이 겹치는 주요 경쟁작으로는 퍼블리셔 요스타(Yostar)의 ‘벽람항로’와 ‘승리의 여신: 니케’, ‘소녀전선2: 망명’, ‘명일방주’, ‘학원 아이돌 마스터’ 등이 꼽혔다.
주요 인기 요인으로는 서브컬처 게임의 성공 문법을 잘 구현한 덕분이다. 몰입감 높은 스토리와 정서적 애착을 불러일으키는 개성 넘치는 캐릭터를 기반으로 매 N주년 이벤트마다 이를 충실히 반영한 결과가 꾸준한 성장세로 이어졌다.
4주년 이벤트에서는 블루 아카이브 팬덤이 오랫동안 기다린 ‘세이아’와 ‘리오’를 출시하며, 스토리와 캐릭터 서사를 더욱 강화했다. 대규모 오프라인 축하 행사를 마련해 실물 크기의 캐릭터 전시, VR 체험, 코스프레 등 다양한 참여형 콘텐츠로 팬덤의 유대를 더욱 끈끈하게 만든 것도 인기 요인이다.
센서타워 디지털 광고 인텔리전스인 패스매틱스에 따르면, ‘블루 아카이브’는 일본 내 디지털 광고에서 틱톡을 주요 채널로 활용하고 있다. N주년 이벤트가 시작되는 1월과 7월에 틱톡 채널에서의 광고 지출이 크게 증가했으며, 이와 함께 광고 노출 수도 올랐다고 분석했다. 4주년 이벤트를 시작한 2025년 1월에는 일본 모바일 게임 중 광고비와 노출 수에서 각각 3위를 기록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대호 기자>ldhdd@byline.network
[컨퍼런스] AI 에이전트와 지능형 인터페이스 시대
◎ 일시 : 2025년 3월 27일 오후 12:30 ~
◎ 장소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ST Center (과학기술컨벤션센터) 지하 1층 대회의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