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벨리온-사피온 합병 “AI반도체 국가대표 되겠다”

[무료 웨비나]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플레어를 소개합니다

◎ 일시 : 2025년 2월 6일 (목) 14:00 ~ 15:00


[무료 웨비나] 중동의 ICT 및 테크 기업 생태계 – 사우디 아라비아, UAE를 중심으로

◎ 일시 : 2025년 1월 23일 (목) 14:00 ~ 15:10

KT가 2대 주주인 리벨리온과 SK텔레콤 계열사 사피온코리아가 합병한다. AI 반도체 시장에서 존재감을 가지려면 덩치를 키워야 한다는 판단에 두 회사가 뜻을 같이 했다. 엔비디아가 장악한 AI반도체 시장에서, ‘국가대표급’ 기업을 만들어 제대로 싸워보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12일 리벨리온과 SK텔레콤은 향후 2~3년을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 승기를 잡을 ‘골든타임’으로 보고빠른 합병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리벨리온과 사피온코리아의 합병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실사와 주주 동의 등 필요한 절차를 거쳐 3분기 중으로 합병을 위한 본계약 체결을 마무리하고 연내 통합법인을 출범시킬 계획이다.

두 회사의 합병은 지분 교환방식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경영권은 리벨리온이 가져간다. 합병회사의 사령탑은 리벨리온 창업자인 박성현 대표가 맡을 가능성이 높다. SK텔레콤은 이 과정에서 새 합병회사에 전략투자를 단행할 예정이다. 지분 교환 비율이나 투자금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공개된 것이 없다. 합병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본계약 체결이 마무리 되는 올 3분기 께 밝힐 예정이다.

리벨리온 측 관계자는 “리벨리온이 경영권을 가져가는 만큼, 스타트업 특유의 속도나 추진력을 살린 합병 법인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리벨리온의 색이 드러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

리벨리온과 SK텔레콤은 올 초부터 몇 달에 걸쳐 합병을 논의해왔다. 핵심은 체급 키우기다. 현재 리벨리온의 2대 주주는 10% 이상의 지분을 가진 KT. 이번 합병으로 AI 반도체 시장에서 사실상 KT와 SKT가 손을 잡고 뛰게 되는 셈이다. 리벨리온을 주축으로 세워진 새 합병회사는 두 통신사가 가진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리벨리온 관계자는 “SKT가 AI 시장에서 해외 컨소시엄을 적극적으로 만들어가고 있고, 람다나 슈퍼마이크로와 같은 AI 데이터센터향 기업과도 협업을 많이 하고 있다”면서 “새 합병법인이 사업적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리벨리온은 지난 2020년 박성현 대표와 오진욱 CTO 등이 공동 창업한 AI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이다창립 이후 3년간 2개의 제품을 출시하며 기업가치 8,800억원을 인정받는 등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 회사의 두번째 제품인 AI반도체 ‘아톰(ATOM)’은 지난해 국내 NPU로서는 최초로 데이터센터 상용화로 LLM을 가속했으며올해 양산에 돌입하며 주목받고 있다현재 거대언어모델 시장을 겨냥한 차세대 AI반도체 ‘리벨(REBEL)’을 개발 중이다.

사피온코리아는 지난 2016 SKT 내부 연구개발 조직에서 출발해 분사된 AI반도체 전문기업이다지난 2020년 국내 최초로 데이터센터용 AI반도체를 선보인데 이어지난해 11월에는 차세대 AI반도체 ‘X330’을 공개하는 등 고성능 AI반도체 개발을 통해 자율주행엣지 서비스 등으로 사업범위를 확장해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