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티기도 어렵다” 생존 기로에 놓인 온투업

# 슈가펀딩은 지난해 12월, 등록 7개월 만에 문을 닫았다. 국내외 금융시장이 어려워졌다는 것이 폐업 이유다.
# 펀딩웨이를 운영하는 에이치엔핀코어는 홈페이지 접속이 불가한 상태로 투자, 대출이 가능한지 알 수 없다.
# 모두의핀테크는 약 10개월 만에 새로운 투자 상품을 내놨으나 투자자 모집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 렌딧, 온투인은 신사업, 플랫폼 리뉴얼 등을 이유로 새로운 상품을 취급하지 않고 있다.
# 비드펀딩, 티지에스파이낸스는 서비스 지속 여부조차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한때 개인 대 개인(P2P) 금융으로 불리던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에 칼바람이 불고 있다. 문을 닫는 업체부터 시작해 서비스 지속 여부를 알 수 없는 곳, 아예 업종을 전환해 새로운 사업을 하는 곳 등이 등장하면서 업계에서는 “지금이 진짜 위기”라고 감지하고 있다. 21일 <바이라인네트워크>가 취재한 온투업 관계자들은 “지난 2021년 법제화 이후 약 3년 간 꾸준히 업황이 안 좋아지면서 지금은 버티는 것조차 어려워졌다”고 입을 모았다.

기존 사업 모델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판단 아래 피보팅을 하거나 신사업을 하는 곳도 적지 않다. 렌딧은 네 번째 인터넷전문은행 인가를 준비하면서 올해 신규 상품을 취급하지 않고 있다. 어니스트펀드, 피플펀드는 금융사에게 신용평가 리스크 관리 솔루션을 공급하면서 기술기업으로의 변모를 꾀하고 있다. 데일리펀딩은 온라인 쇼핑몰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선정산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업계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법제화가 되면서다. 온투업은 지난 2021년 어렵게 제도권에 입성했다. 약 17년 만에 만들어진 새로운 제도권 금융의 탄생이란 측면에서 주목을 받았다. 업계에서도 등록 절차는 까다롭지만 혼탁했던 시장을 정리하고 옥석을 가릴 수 있다는 측면에서 법제화를 환영했다.

그러나 기쁨은 오래가지 않았다. 어렵게 제도권에 입성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 수 감소, 금융환경의 변화, 규제 등의 문제로 산업은 고꾸라지기 시작했다. 

온투업이 법제화되면서 가장 먼저 직격탄을 맞은 곳은 투자 영역이다. 온투업은 업계 특성상 주식처럼 대중화된 투자수단이 아닌, 소위 말하는 ‘마니아 층의 투자수단’으로 여겨진다. 온투업 자체의 인지도가 낮을뿐더러 투자금이 대출금으로 운용된다는 점에서 구조가 주식에 비해 복잡하다. 이 점 때문에 법제화 이전에는 산업의 이해도가 높고 대규모 투자금을 굴리는 일명 ‘큰 손’들의 투자가 이어졌다.  

그러나 온투업의 법제화 이후 개인투자자가 투자할 수 있는 금액의 한도가 정해지면서 큰 손들이 이탈하기 시작했다. 업계의 요구에 지난해 당국은 개인투자자 한도를 3000만원에서 4000만원으로 늘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법제화와 함께 빠져나간 큰 손들의 마음을 돌리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의견이다. 

온투업계가 궁극적으로 대규모 자금유치를 할 수 있는 기관투자를 허용해달라는 이유이기도 하다. 온투업 특성상 투자금이 모여야 대출을 내줄 수 있고, 여기서 발생하는 이자와 중개 수수료로 이익을 낸다. 즉, 돈이 많이 모일수록 업계는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데 개인투자자 한도가 낮고 기관투자 유치가 안 돼 큰 돈이 모이지 않는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금융위원회는 개인신용대출에 한해 혁신금융서비스로 기관투자 유치를 허용해줄 계획이다. 

업계가 어려워진 또 다른 배경으로 지난 2022년부터 이어진 고금리 기조와 경기침체가 있다. 이로 인해 대출 차주들의 금리 부담이 증가했고 이는 연체금 증가로 이어졌다. 지난해 하반기 온투업 연체율은 한때 10%를 육박하기도 했다. 연체금 증가는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요인이 됐다. 

온투업 외에도 조각투자, 가상자산 등 투자자산이 다양해진 것도 원인이다. 한 온투업체가 자사 투자자들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온투업은 한도 제한으로 큰 금액을 투자하기 어려워 조각투자 등 다른 투자수단에 집중하고 있다”는 공통적인 피드백을 받았다. 

이밖에도 인지도 부족, 위험자산에 대한 인식,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사태 등이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는 올해를 생존여부가 결정되는 해로 보고 있다. 긍정적인 부분은 당국이 개인신용대출에 한해 기관투자 유치를 허용해주는 데다가, 기관투자자 사이에서도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곳과 협업하고 싶어하는 눈치가 있어서다. 그러나 규모가 작은 기업은 상대적으로 큰 업체들과 기술력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도태될 수밖에 없다. 제도화가 이뤄졌던 당시처럼 옥석 가리기가 될지, 업황을 이탈하는 곳이 늘어날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