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가 아니라 ‘신한 슈퍼 쏠’이라고?

신한금융그룹이 은행, 카드, 증권, 보험 등의 서비스를 망라한 통합 앱을 내놨다. 18일 신한금융이 출시한 ‘신한 슈퍼 쏠(SOL)’은 신한금융의 주요 그룹사인 은행, 카드, 증권, 보험, 저축은행의 핵심 기능을 결합했다. 신한금융은 홍보 모델로 MZ세대에게 인기 있는 뉴진스를 발탁하는 등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다. 

슈퍼 쏠을 설치해 접속해 보니 간결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와 사용자경험(UX)이 인상적이었다. 마치 토스를 연상케 했다.

먼저, 첫 화면인 홈 탭에서는 사용자가 가입한 신한금융 그룹의 은행, 카드, 증권, 보험 내역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었다. 신한금융 서비스를 여러개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라면 마이데이터처럼 신한금융그룹의 보유 금융자산 내역을 한 번에 볼 수 있어 편리할 것으로 보인다.

왼쪽은 토스의 포인트 서비스, 오른쪽은 슈퍼 쏠의 포인트 서비스

‘포인트 모으기’ 서비스도 눈에 띈다. 포인트를 주는 토스의 혜택 서비스처럼 슈퍼 쏠도 포인트를 모을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있다. 밸런스 게임, 만보걷기, 물마시기, 출석퀴즈 등 다양하다. 이렇게 쌓인 포인트로 앱 내 멤버십 전용몰에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사용자를 앱에 자주 유입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 보인다. 월활성사용자수(MAU)가 높아질수록 플랫폼으로서의 힘이 커지기 때문이다.

슈퍼 쏠 서비스 화면

두 번째 탭인 금융 서비스에는 은행, 카드, 증권, 보험 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신한은행 계좌가 있다면 이체, 오픈뱅킹, 전체 계좌조회 등 기본적인 거래 서비스를 쓸 수 있다. 카드는 앱카드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증권은 인기종목 확인과 주식 매도·매수, 보험은 보장분석, 가입 등이 가능하다. 특히 ‘주식’ 탭이 따로 있어 보유 주식 현황과 인기종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왼쪽은 신한 슈퍼 쏠의 주식 서비스, 오른쪽은 토스의 주식 서비스

즉, 슈퍼 쏠을 통해 신한금융그룹의 전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UI가 간결하고 쉽다는 점에서 핀테크 서비스를 떠올리게 했다. 포인트 모으기 서비스나 금융-혜택-주식 탭 등 서비스 구조가 토스와 유사하다는 의견도 일각에서 나온다.

이는 금융권에서 핀테크 업계를 의식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물론 산업 규모 측면에서 덩치 차이가 크지만, 기술과 혁신 측면에서 금융권은 핀테크 업계의 사례를 참고하고 있다.

신한금융이 슈퍼 쏠을 내놓은 것은 계열사 서비스를 묶어 기존 고객들의 접점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신한금융은 슈퍼 솔을 내놓기 전, 각 계열사를 통해 앱인앱 서비스를 했다. 즉 신한은행의 앱과 신한증권의 앱 등에서 신한금융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러나 금융권에서 슈퍼 앱 전략이 부상하면서 계열사 주요 서비스를 망라한 슈퍼 솔을 내놓게 됐다.

신한금융그룹 관계자는 슈퍼 쏠 출시와 관련해 “그룹사 간 금융 서비스를 연계하고 확장을 통해 고객 접점을 확대하고, 락인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슈퍼 쏠, 출시 첫날 오전부터 오후까지 오류로 혹독한 신고식 

문제는 이날 출시와 함께 발생한 오류다. 슈퍼 쏠은 동시 접속자가 대거 몰리면서 이날 오전 접속 지연 문제가 발생했다. 관련해 신한금융 측은 “동시다발적인 접속량 증가로 인한 시스템 게이트웨이 오류”라며 “서비스 지연 문제는 해결됐다”고 말했다. 

신한금융의 슈퍼 쏠이 18일 접속 지연 장애와 신분증 촬영 장애가 발생했다.

다만, 이날 오후에도 신규가입 시 신분증 인증 오류가 발생했다. 신한금융그룹 계열사에 가입하지 않은 고객이 슈퍼 쏠에 가입하기 위해선 신분증 인증을 해야 하는데, 이때 신분증 촬영이 되지 않았다. 비대면 실명인증 서버의 앱 연동키 조회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관련해 신한금융 측은 “금융결제원에서 신분증 검증 등에 대한 요청 사항이 많아져서 서비스가 지연되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원인”이라고 밝혔다. 

이번 접속 지연으로 슈퍼 쏠의 인프라에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관련해 신한금융 측은 신한 솔이 클라우드 기반이 아닌 온프레미스 환경이라고 밝혔다. 과거부터 대부분의 금융사들은 서비스 연계와 보안의 문제로 뱅킹 앱을 온프레미스 환경에 구축했으나, 최근엔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신한금융의 사례처럼 KB국민은행도 슈퍼 앱을 개발했다. 국민은행은 퍼블릭 클라우드인 아마존웹서비스(AWS)를 기반으로 KB마이데이터, KB페이, KB월렛, 리브 넥스트, KB헬스케어, KB부동산 등을 망라한 KB스타뱅킹 슈퍼 앱을 개발했다. 

클라우드를 사용할 경우 자유롭게 재원을 관리할 수 있어 동시접속자나 사용자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 2020년부터 AWS의 서비스를 활용해 여러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운영, 확장이 용이한 유연성을 확보했고 대용량의 마이데이터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관련 글

3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