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속 나오는 모임통장, 무엇을 쓸까?
여러 사람이 하나의 통장을 공유하는 모임통장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케이뱅크가 모임통장을 출시하면서 모임통장은 인터넷전문은행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됐다. 현재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케이뱅크로, 당분간 인터넷은행이 높은 금리와 편의성 등으로 고객을 흡수할 것으로 보인다.
28일 케이뱅크는 모임통장을 출시했다. 케이뱅크의 모임통장은 300만원까지 연 2.3%의 금리를 제공하며, 초과금액은 0.1% 금리가 제공된다.
케이뱅크 모임통장의 특징은 ‘모임비 플러스’라는 서비스다. 모임 구성원들과 목표 금액을 모으면 최고 연 10%의 금리가 적용된다.
모임비 플러스는 여러 사람이 모일수록 금리가 높아진다. 기본 금리 연 2.0%에 전체 목표금액을 성공하면 연 3.0%, 성공한 인원 1명이 추가될 때마다 연 0.5%의 우대금리가 더해진다. 최대 참여 가능 인원인 10명이 참여하면 최고 연 10%의 금리가 적용된다. 목표 금액은 1000만원까지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금리가 높은 곳은 토스뱅크다. 토스뱅크의 모임통장은 최고 연 2.3%의 금리 혜택이 적용된다. 또 모임활동이 많은 영역을 대상으로 캐시백 혜택을 제공하는 모임카드를 제공한다. 이어 카카오뱅크로, 모임통장을 세이프박스에 연결하면 연 2.1%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시중은행에서는 NH농협은행과 KB국민은행이 모임통장 서비스를 한다. 다만, 인터넷은행에 비해 금리 경쟁력이 낮다.
먼저, NH농협은행의 NH모여라통장은 연 0.1%의 금리를 제공하며, 별도 우대금리 혜택은 없다. KB국민은행은 기존 통장과 연계한 모임통장 서비스인 ‘KB국민총무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기존에 쓰던 통장에 모임관리 기능을 추가해 쓰는 방식이다. 사용자는 자유롭게 이 서비스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금리는 기존 상품과 동일하다.
특이한 기능
각 모임통장 별로 특화된 기능이 있다. 먼저 케이뱅크의 모임통장은 모임원의 실명을 공개하지 않고 별명이나 익명으로 이뤄지는 팬카페, 오픈채팅방 모임 등의 특성을 고려해 별명으로 활동할 수 있다. 모임 프로필 기능도 있다. 모임통장 메인화면 전체를 모임의 특성을 담은 사진으로 꾸밀 수 있다. 사진을 누를 때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토스뱅크에는 모임장이 여러 명이다. 기존에는 모임장 혼자 회계를 책임졌다면 토스뱅크는 공동 모임장을 둘 수 있다. 통장 최초 개설자인 모임장과 공동 모임장은 모임카드 발급, 결제, 출금을 할 수 있다. 토스뱅크는 모임원 인원 제한을 없앴다. 회비를 쓸 때마다 모임원 모두에게 알림 메시지가 전달된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1월 생활비 관리 기능, 회비 관리 기능을 추가했다. 생활비 관리 기능은 한달 목표 생활비를 설정하면 예산 대비 지출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능이다. 회비 관리 기능은 모임주가 회비규칙 설정 버튼을 눌러 회비 금액과 회비 내는 날을 설정하면 모임원이 회비 입금을 잊지 않도록 해당일에 맞춰 자동으로 알림을 보내는 기능이다.
KB국민은행은 납부자와 미납자를 확인하고 미납자에게 콕콕 찌르기 알림을 보내 회비 납입을 유도할 수 있다. 모임캘린더로 공지 사항, 일정 안내가 가능하다. 모임회비 현황을 시각화해 보여주는 월별 리포트를 이용할 수 있다.
NH농협은행은 NH모여라통장을 서비스하고 있다. 계좌등록, 회비금액, 입금일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인터넷은행처럼 회원초대, 일정관리, 공지사항 등재, 미납자 관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회비가 100만원 이상 쌓이면 정기예금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정기예금의 기간은 6개월, 1인 4계좌까지 가능하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