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하는 애들’을 어떻게 지킬까?

소셜미디어 ‘틱톡’에서 만 18세 미만의 청소년은 가상 선물을 주고 받을 수 없다. 만 16세 미만은  개인 간 쪽지를 일컫는 ‘다이렉트 메시지(DM)’를 아예 쓰지 못한다. DM에서의 이미지나 동영상 파일 전송은 막아놓았다.  DM을 통해 청소년에게 성적 학대를 일으킬 수 있는 파일이 전송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틱톡은 자신들의 서비스를 어느 나이대에서 많이 쓰는지, 그 구체적 숫자를 공개한 적은 없다. 그러나 ‘짧은 동영상 공유’라는 방식은 틱톡을 폭발력 있는 소셜미디어로 키워냈고, 그 바탕에 10대의 전폭적 지지가 있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2000년대 이후 태어난 지금의 10대들이 ‘틱톡하는 애들’로 불리는 것은, 그만큼 틱톡이 이 세대에 확실한 영향력을 가진 매체라는 것을 보여준다.

틱톡이 지난 21일부터 25일까지를 ‘청소년 보호 인식 주간’으로 삼고, 24일에 자신들의 청소년 보호정책이 어떠한지를 공개하는 자리를 마련한 것은 이런 이유가 배경에 깔렸다. 틱톡을 비롯한 소셜미디어에게 10대는 매우 중요한 고객이다. 그러나 나라를 막론하고 어른들은 ‘소셜 미디어가 10대에 끼치는 부정적 역할’을 걱정하고 있다. 규제당국이 소셜미디어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기 전에, 플랫폼이 먼저 나서서 자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는 자정 노력을 보여주는 것이 기업의 입장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이날 틱톡은 심영섭 경희사이버대학 미디어영상홍보학과 겸임교수를 발표자로 초청 “디지털 환경에서 청소년 보호를 위한 과제와 플랫폼의 역할”을 알렸다. 심 교수는 틱톡코리아의 안전포럼 위원이기도 하다.

심 교수는 이 자리에서 현재 10대들이 소셜미디어에서 어떠한 위기에 놓여있는지를 설명했다. 그가 지적한 문제는 일명 ‘사이버렉카’나 ‘사이버불링’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범죄들이 증가하고 있고, 이것이 개인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히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행정 규제로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함께 했다. 사이버 범죄에 대한 피해는 무조건 빨리 구제되어야 하는데, 행정 규제만으로는 속도를 따라잡기 어렵다는 이야기다.

적극적으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플랫폼의 책임을 강조했다. 전파력이 큰 소셜미디어의 특성상 피해가 접수된지 24시간 내에 문제가 되는 게시물을 삭제한다든지의 대응을 할 수 있어야 아주 심각한 피해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심 교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자가 플랫폼을 적극 모니터링 하고, 피해신고를 접수받아 자율적으로 초기 대응하는 것이 행정규제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류동근 틱톡토리아 상무가 틱톡의 청소년 보호 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플랫폼이 자체적으로 선제 대응하면 피해를 얼마나 막을 수 있는지는 틱톡 측이 발표했다. 류동근 틱톡 코리아 공공정책 상무에 따르면 이 회사는 현재 청소년에 부적절한 콘텐츠(동영상, 오디오, 실시간 방송, 이미지, 댓글, 링크 또는 텍스트)를 선제적으로 삭제하고 있다. 그 결과 2021년 3분기 동안 약 9100만 건 이상의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위반 동영상을 삭제했다. 이중 사용자 신고 전 제거된 것이 95.1%, 콘텐츠가 노출되기 전에 제거된 것은  88.8%, 게시된 지 24시간 안에 삭제된 비율은 93.9%다.

이와 관련해 심 교수는 “민간에서의 상호 협력을 통한 자율 규제가 빠르게 마련되어야 하고, 청소년 보호를 위한 플랫폼의 자발적 실천과 노력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이용자가 게시물을 올리기 전 스스로 문제 여부를 점검하고, 상대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도록 선택하게 하는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심영섭 교수는 이와 관련해 “디지털 환경에서 틱톡과 같은 플랫폼은 청소년 사용자들에게 자율 규제의 결정권을 확대, 제공할 의무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