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이 선불전자지급업에 뛰어든 이유

신한은행이 선불전자지급 서비스에 나설 계획입니다. 선불전자지급수단은 금전적인 가치가 전자적인 방법으로 저장되어 발행된 증표 등을 말하는데요.

지금까지 선불전자지급 서비스는 핀테크 업계에서 ‘포인트’라는 이름으로 주도해오고 있습니다. 자사 서비스에 은행 계좌를 연결하고 포인트를 충전해 현금처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은행 계좌를 직접 만들 수 없는 핀테크 업계에서 선불전자지급 서비스는 사용자를 묶어둘 수 있는 수단입니다. 따라서 선불전자지급 서비스는 핀테크 업계의 영역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반면, 계좌를 발급할 수 있는 신한은행은 굳이 선불전자지급 서비스를 할 이유가 없어 보이는데요. 신한은행은 어떤 면에서 이 시장의 가능성을 본 것일까요.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불거진 머지포인트 사태로 인해 사실상 선불전자지급수단 서비스의 진입장벽이 높아졌습니다. 일명 ‘포인트 먹튀’ 사태로 선불전자지급수단 시장의 신뢰도가 하락한 상황에서, 정부가 아무에게나 자격을 주지 않겠다는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머지 포인트 같은 불미스러운 사고를 막겠다는 의도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불전자지급수단에 대한 수요는 사그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변이 확산으로 비대면 결제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유통, 게임 등 업계에서는 비대면 결제 수단으로 선불전자지급수단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충전, 결제 방식이 간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자사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죠.

그러나 신규 진입장벽이 높아져 사실상 직접 서비스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데요. 이런 시장의 흐름을 살펴보던 신한은행이 선불전자지급 시스템을 구축해 기업들에게 서비스를 하겠다고 결정했습니다. 신한은행의 경우 법적자격은 별도로 취득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미 은행업 라이선스에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업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죠.

신한은행은 기존의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처럼 소비자영역(B2C)이 아니라, 기업을 대상(B2B)으로 서비스를 할 계획인데요. 선불전자지급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업체들과 제휴해 현금을 포인트로 전환하고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즉, 전면으로 나서서 서비스를 하기보다 뒷단에서 필요로 하는 업체들에게 시스템을 구축해주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죠.

특히 지금 상황에서 ‘은행이 하는 선불전자지급 서비스’는 꽤 매력적입니다. 은행은 보안과 소비자 보호를 최우선시하는 만큼 머지사태 같은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현저히 적기 때문이죠. 이 점은 다른 선불전자지급 서비스를 하는 업체들보다 신한은행이 가진 강점이자 무기로 보입니다.

신한은행은 본격적인 서비스를 위해 선불전자지급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현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업공고를 내놨는데요. 이르면 올해 상반기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하반기부터 사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신한은행은 오픈뱅킹 서비스를 활용해 선불전자지급수단 서비스를 할 계획입니다. 신한오픈뱅킹서비스와 연동해 사용자에게 충전, 결제, 환불, 결제내역 조회, 조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고객사에게는 사용자 관리 기능, 가맹점·제휴사 관리, 정산 서비스 등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쯤에서 드는 궁금증. 선불전자지급 서비스를 통해 신한은행이 얻는 것을 무엇일까요. 효과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신한은행은 수요가 상당한 시장에 진출해 새로운 수익모델을 발굴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선불전자지급 서비스 이용실적은 일평균 6247억원, 2228만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전기 대비 각각 23.9%, 14.7% 증가한 것을 보면 성장률이 어마어마 합니다. 이러한 시장에 진입을 한다는 것은 신한은행에게도 좋은 기회인 셈이죠.

마지막으로, 은행은 개인(가계)뿐만 아니라 기업금융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즉, 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는 것이지요. 신한은행은 이 사업으로 신규 기업 고객을 유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신규고객 유치는 은행의 최우선 과제이자 수익확장의 원천입니다.

이르면 올 하반기쯤 신한은행이 선불전자지급 서비스를 선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신한은행이 꿩과 알을 동시에 먹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