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이널리시스 “2021년, 디파이 이용한 자금 세탁 비중 전년대비 1964% 증가”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기업인 체이널리시스가 2월 23일 분석한 ‘2022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사이버 범죄자들은 86억달러(한화 약 10조3000억원)의 가상자산을 세탁했다. 특히 디파이(DeFi:탈중앙화 금융) 프로토콜을 이용한 자금 세탁 비중이 증가했다.

사이버 범죄자들이 세탁한 가상자산은 2021년 86억달러(10조2529억원)로 2020년대비 30%가량 증가했다. 체이널리시스는 사이버 범죄자들이 2017년부터 세탁한 가상자산이 330억달러(약 39조 3360억원) 이상으로 자금의 대부분이 중앙화 거래소로 이동했다고 분석했다.

지난 해 불법 주소에서 보낸 전체 자금 중 중앙화 거래소가 수신한 자금 비중은 2021년 47% 수준이었고 디파이 프로토콜이 수신한 비율은 2021년 17%였다. 디파이 프로토콜이 수신한 금액은 총 9억달러(약 1조729억원)로 전년 대비 1964% 증가한 금액이다.

2021년 가상자산 범죄 중 도난과 연관된 주소들이 디파이 플랫폼으로 보낸 금액은 7억5000만달러(8940억원) 상당이었다. 믹서를 이용하는 비중도 늘었다.

믹싱(믹서)이란 가상자산 지갑을 수천 개까지 만든 뒤에 가상자산을 쪼개서 분산하거나 지갑들끼리 거래를 반복해서 추적을 피하는 방식이다.  국내에서는 성착취 동영상 판매 사건 가해자인 조주빈이 믹싱을 사용한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체이널리시스는 자금 세탁 활동이 여전히 활발하다고 분석했다. 2021년 583개의 주소가 100만달러(11억9200만원) 이상의 불법 가상자산을 수신했다. 총 25억달러(2조9800억원) 미만으로 입금된 주소는 전체 54%를 차지했다. 또한 사이버 범죄 유형에 따라 자금 세탁의 집중도가 달랐다.

스캠 및 다크넷 시장의 범죄 활동은 다른 범죄 유형보다 집중도가 떨어진다. 체이널리시스는 이를 범죄 활동 유형자체의 집중도가 떨어지는 것이 원인일 수 있으며 자금이 더 많은 자금 세탁용 입금 주소로 분산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체이널리시스는 스파르탄 프로토콜(Spartan Protocol) 해킹의 사례를 통해 디파이 프로토콜을 이용한 자금 세탁 과정을 분석했고, 영국의 사례를 통해 마약자금을 비트코인으로 세탁하는 과정 및 수사 과정도 분석했다.

백용기 체이널리시스 한국 지사장은 “가상자산의 역할을 파악하고 자금 세탁 수법을 이해하는 등 기존의 수사 방식에서 블록체인 분석을 적극 활용하는 사례들을 통해 모든 범죄 수사관들은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분석 이해의 중요성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윤희성 기자>heecastle@byline.network

[컨퍼런스] AI 에이전트와 지능형 인터페이스 시대

◎ 일시 : 2025년 3월 27일 오후 12:30 ~
◎ 장소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ST Center (과학기술컨벤션센터) 지하 1층 대회의실 2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