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스리] “팹리스 활성화? 플랫폼이 필요하다”

바이라인네트워크에서 스타트업 리뷰를 연재합니다. 코너명은 ‘바스리’, <바이라인 스타트업 리뷰>의 줄임말입니다. 스타트업 관계자분들과 독자님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흔히들 한국이 ‘반도체 강국’이라고 이야기한다. 특히 한국은 메모리 부문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D램 시장점유율이  70% 이상이고, 낸드플래시 부문도 시장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은 여전히 메모리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팹리스·파운드리는 다소 미진한 상황이다. 진정한 반도체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팹리스와 파운드리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그 가운데, 팹리스와 파운드리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팔을 걷은 기업이 있다. 세미파이브다. 지금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반도체를 개발할 수 있도록 디자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이 회사 조명현 대표를 만나 세미파이브와 반도체 팹리스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들어봤다.

조명현 세미파이브 대표

디자인 하우스가 아닌 디자인 플랫폼으로

조명현 대표는 세미파이브를 ‘디자인 플랫폼 기업’이라고 소개한다. 다소 생소한 개념이다. 일반적인 디자인하우스는 팹리스가 설계한 칩을 파운드리가 수월하게 제조하도록 재디자인하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 설계도를 파운드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번역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조 대표는 디자인 하우스의 역할이 조금 더 넓어져야 한다고 본다. 그래서 새로운 반도체를 개발하고자 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반도체 디자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고객사가 전용 반도체를 개발할 수 있도록 반도체 디자인 에셋(설계도 자산)과 플랫폼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결정을 내린데는 전용 반도체를 개발하려는 기업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 바탕이 됐다. AI, 클라우드, IoT 등 IT 기술이 발전하면서 각 디바이스가 처리하는 데이터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각 분야마다 필요한 기술도 다 다르다. 각기 다른 기준을 기존 범용 반도체가 모두 충족할 수는 없다.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반도체 기업은 전용 반도체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조명현 대표에 따르면, 반도체의 성능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전용 반도체의 필요를 이끌어냈다. 기존 반도체 산업에서는 무어의 법칙이 통용되어 왔다. 인텔의 고든 무어가 주장한 법칙으로, 마이크로칩의 정보 저장 용량이 2년마다 2배씩 늘어난다는 것을 말한다. 반도체 기업은 범용 반도체의 트랜지스터 집적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오랜 기간 이 법칙을 지켜 왔다. 반도체 산업은 더 미세하게 트랜지스터를 배치해 크기는 줄이고, 성능은 높이는 방향으로 반도체를 개발해 왔다.

하지만 공정이 미세화되면서 무한정 성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생겼다. 게다가 공정이 미세화될수록 가격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조 대표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각 기업이 차별화 포인트를 가진 반도체를 개발하는 것”이라며 “단순히 집적도를 높이고 미세 공정처리를 하는 것보다 전용 반도체를 만드는 것이 더 성능 좋은 반도체를 만드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필요 없는 부분은 덜어내고, 성능을 높여야 하는 부분은 극대화하자는 것이다. 전용 반도체가 많이 나와야 더 좋은 성능의 반도체를 고객들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조 대표의 설명이다.

조 대표는 “이 같은 전용 반도체가 더 많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더 쉽게 반도체를 연구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프트웨어 개발 툴이 개발되면서 관련 산업이 확장된 것처럼, 하드웨어 산업에서도 개발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필요한 디자인을 선택해 반도체를 좀 더 수월하게 개발하도록 플랫폼을 제공하면, 고객사는 보다 수월하게 전용 반도체를 만들 수 있다.

 

 

세미파이브가 삼성과의 협력이 필요한 이유

세미파이브는 삼성 파운드리 DSP(Design Solution Partner) 중 하나다. 세미파이브가 주요 파운드리 기업 중 삼성 파운드리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하는 이유는 에코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이 파트너 관계가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다른 유력 파운드리 중 하나인 TSMC는 현재 고객사를 추가 확보하는 것보다 수익을 극대화하는 부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는 고객사를 유치하고 파운드리 에코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 같은 측면에서 삼성 파운드리와 세미파이브는 긍정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거라고 조 대표는 기대하고 있다. 새로운 반도체 기업이 세미파이브를 통해 반도체를 설계하고, 삼성 파운드리까지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미파이브도 더 많은 팹리스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자체 에코시스템을 넓혀가고 있다. 2019년 12월에는 삼성 DSP 기업이었던 세솔반도체를 인수했고, 뒤이어 지난 해 12월에는 또 다른 삼성 DSP 하나텍을 인수했다. 더 다양한 디자인 에셋을 확보하고 다방면으로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세미파이브는 반도체 설계 역량과 기술을 확장하고, 지속해서 에코시스템을 넓혀갈 계획이다. 조 대표는 “세미파이브와 IP 부문에서 협업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며 “디자인 플랫폼에 대한 뜻을 같이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이며, 협력사와 손잡고 고객이 더 쉽고 효율적으로 반도체를 개발할 수 있도록 체제를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성공 사례 늘려야 해”

세미파이브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조 대표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고객사 중에서도 삼성 파운드리 에코시스템에 합류하고자 하는 기업이 있다”며 “어느 국가의 기업이든 새로운 반도체를 개발하고자 하는 기업은 우리 고객사”라고 말했다.

먼저 세미파이브는 미국과 중국에 위치한 팹리스 기업에게 플랫폼을 제공하고, 해당 지역에서 고객사를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더불어 인도와 베트남에도 법인을 만들어 글로벌 네트워크를 넓혀 나가고 있다. 조명현 대표는 “코로나19로 제약조건은 있으나, 기존에 확보해 놓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돌파구를 찾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성공 사례를 추가로 삼는 것도 물론 중요한 일이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에 따르면, 현재 세계적으로 반도체 인력난이 일어나고 있다. 아무리 반도체 산업을 활성화하고 싶어도 인력이 부족하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조 대표는 한국 내 반도체 스타트업의 성공 사례를 만드는 것이 장기적으로 인재를 양성하고 이를 토대로 해외 비즈니스를 확대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보고 있다.

그는 “반도체 인력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시장에 대한 충분한 비전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며 “국내 주요 팹리스 스타트업이 성공 사례를 남기고 세계로 뻗어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반도체 인재는 자연스레 육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명현 대표는 반도체 산업에 디자인 플랫폼 기업이 하나의 인프라로 자리잡을 것을 기대하고 있기도 하다. 과거 반도체 기업은 생산라인을 자체 보유하고 있었다. 이를 종합반도체기업(IDM)이라고 한다. 하지만 생산라인을 가동하는 데에는 부지도 필요하고, 비용도 발생한다. 따라서 일부 기업은 생산라인을 없애고 생산만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을 찾기 시작했다. 그렇게 해서 생겨난 것이 팹리스와 파운드리다.

조 대표는 “설계 부문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인프라로 자리잡게 된다면, 국내 반도체 산업의 효율성이 높아져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와 기업이 힘을 모아 설계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갖출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배유미 기자> youme@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