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선식품 대부분이 당일 배송을 시작하며 늘어가는 것이 있다. 아이스팩과 스트레스다. 기자는 최근 여러 개의 식품을 배달받았고 그만큼 보냉팩도 늘어난 상태다. 하루는 보냉팩이 뜯어진 상태로 왔는데, 안에서 젤이 흘러내리는 걸 발견했다. 젤 형태이므로 어떻게든 버릴 수 있고 식품도 밀봉돼 있으므로 문제는 없었다. 그런데 이 무겁고 존재감 넘치는 제품은 대체 어떻게 버려야 할까.
SAP, Super Absorbent Polymer
보냉팩 겉을 읽어보면 내용물에 ‘고흡수성 폴리머+물’이라는 표기가 공통적으로 들어있다. SAP가 어떤 물질인지는 LG화학 블로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흔히 기저귀나 생리대에 쓰이는 물질이다. 만들었을 때는 가루 형태이지만 그 가루의 500배~1000배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 흡수 후에는 부풀어 오르게 되는데 이걸 ‘팽윤’이라고 한다. 이 팽윤된 상태가 아이스팩에 들어가는 것이다. 이 물질은 부피 대비 물을 많이 품을 수 있고, 어는 점이 -10℃ 이하로 낮다. 따라서 얼음보다 더 차갑고 냉기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업체들이 보냉팩을 사용하는 이유, 수거하지 않는 이유
신선식품을 배송하기 위해서는 냉기로 음식물을 보존해야 하겠지만, SAP 보냉팩이 저렴해서이기도 하다. 주로 개당 100원~150원이며, 마켓컬리처럼 두꺼운 비닐을 사용하는 곳은 단가가 조금 더 높다.
환경에 민감한 소비자는 보냉팩을 업체에서 수거해가면 좋겠지만 업체 입장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 수십개를 모아야 택배비가 겨우 나오는 수준이기 때문. 현재 수거하는 이벤트를 한 곳은 H-Mall과 현대홈쇼핑이 유일하며, 헬로네이처가 아이스팩이 아닌 상품 상자(더그린박스)를 수거하는 이벤트를 한 적이 있다. 재주문을 할 때 보냉팩이나 박스 등을 수거해가는 마켓컬리 등의 업체가 있으나 이런 부분에 대해 고지가 잘 돼있는 것 같지는 않다.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흔히 SAP는 밀이나 옥수수 등의 전분으로 만든다. 재료가 곡식이라 무해한 물질로 소개하는 경우가 많으나 원재료와 결과물의 유해성에는 큰 관련이 없다. 예를 들어 인체에 치명적인 염소가스는 물과 소금만으로도 만들 수 있다.
SAP는 그 자체로는 현재 인체 유해성이 밝혀진 바가 없고 반대로 토양의 질을 올리는 데 쓰인다. 그러나 이를 하수도에 마구 버릴 경우 하수처리장에서 정화할 수 없고 물고기 등의 동물들이 섭취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구체적인 환경오염 실태가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는 수준인 것이다.
흔히 이 아이스팩을 버릴 때는 비닐을 뜯어 소금을 뿌려 물처럼 만든 뒤 하수도에 버리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앞서 말한 문제를 생각해 종량제 봉투에 그대로 버리는 게 좋다. 포장지인 비닐의 경우에도 재활용을 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그대로 버려야 한다.
스타트업으로 분류되는 신선식품 업체들 대부분은 “종량제 봉투에 버리라”는 주의사항을 잘 기록하고 있지만, 일부 업체의 경우 아무런 표기도 없는 경우도 있다. 환경보호를 위해 이 부분은 정부에서 권고하는 것이 좋겠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종철 기자> jude@byline.network
기사 잘 봤습니다. 항상 바이라인네트워크의 뉴스레터를 통해 트렌드와 영감을 얻고 있습니다^^
커머스에서 배달음식, 냉동신선식품을 사다보면 정말 크고 아름다운(!) 보냉팩들이 많이 오지요.
상품의 신선도를 보존하기 위한 필수적이지만, 환경이나 자원재활용을 생각하면 참 아이러니한 녀석 같습니다^^;
(그냥 땅에 묻어도 생분해되는 제품은 아직 없을지 궁금하네요)
항상 기사 잘 보고 있습니다. 번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