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에 지켜야 할 개인정보 보호 수칙 6가지
10월은 국내에서 여행 수요가 가장 활발한 시기 중 하나다. 특히 올해 추석 연휴에는 귀성객과 함께 국내외 여행을 떠나는 인파가 늘면서 개인정보 노출 위험도 커지고 있다. 사이버 보안 기업 서프샤크(Surfshark)는 연휴 기간 평소 무심코 하는 디지털 습관이 해커들에게 주요 공격 통로가 될 수 있다고 2일 밝혔다.
서프샤크에 따르면 여행객들이 흔히 사용하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앱, 호텔과 공항 무료 와이파이, 챗봇 기반 여행 할인 검색 등은 편리해 보이지만 개인정보 침해의 위험이 뒤따른다.
이현재 서프샤크 한국 지사장은 “추석 연휴에는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경계를 늦추게 된다”며 “빠르게 이동하고, 현명하게 예약하며, 어디서든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싶어 하지만, 이런 습관이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큰 대가로 돌아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 사용자들이 온라인 활동을 활발히 하는 10월은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최적의 시기”라고 강조했다.
서프샤크가 제시한 대표적 위험 요인은 여섯 가지다. 우선 구글맵, 웨이즈, 애플맵 같은 GPS 앱은 실시간 위치 데이터를 수집해 광고·프로파일링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악용한 숙박 사기도 늘고 있다. 가짜 숙소 이미지를 생성해 여행객을 속이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현장에 도착하고서야 사기를 당했음을 깨닫는 경우도 있다.
여행객이 자주 쓰는 챗GPT 같은 인공지능(AI) 챗봇도 주의 대상이다. 플러그인이나 비공식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이름, 이메일, 은행 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가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호텔이나 공항 무료 와이파이 역시 해커의 표적이 되기 쉽다. 가상사설망(VPN) 없이 접속하면 단순 이메일 확인조차 안전하지 않다.
연휴 중 늘어나는 스트리밍 시청도 보안 위협을 불러온다. 공식 플랫폼을 사칭한 피싱 이메일을 통한 계정 탈취 시도가 많으며, 기기 업데이트를 소홀히 하면 해커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한다. 또 휴가철 급히 다운로드하는 할인 앱이나 여행 앱 가운데 일부는 과도한 권한을 요구하거나 의심스러운 광고 네트워크와 연결돼 개인정보를 침해할 수 있다.
서프샤크는 안전한 연휴를 위해 ▲공용 와이파이 사용 시 VPN 활용 ▲GPS 앱의 위치 추적 비활성화 ▲AI 도구에 민감 정보 입력 자제 ▲모든 기기 운영체제 최신 업데이트 ▲공식 스토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앱만 설치 ▲데이터 유출 경보 설정 등을 권고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곽중희 기자> god8889@byline.netwo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