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정보기술, 헬스케어 신규 특허 10건 등록완료
미소정보기술(대표 안동욱)은 헬스케어 및 멀티모달 빅데이터 플랫폼 관련 신규 특허 10건이 특허청으로부터 특허등록 결정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미소정보기술은 헬스케어 및 데이터플랫폼, 제조분야 기술개발에 매년 집중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특허청에 등록된 10개의 기술특허는 ▲미래의 감염병 발생 신호를 탐색하기 위한 온톨로지를 활용하는 온라인 빅데이터 수집 및 분류 자동화 시스템 ▲역학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생물감시 통합 관리 시스템 ▲병원의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화 시 사용되는 규칙을 생성하는 기법 ▲멀티 챗봇 모듈을 이용하는 관리 서버 ▲비정상을 감지하는 방법 ▲메시지의 의도를 추론하는 방법 ▲가상비서 디바이스 ▲음성 인식을 통한 제조 설비 제어 방법 ▲스마트 OFW 프로세스 ▲화자 검증을 통한 제조 설비 제어 방법 등 디지털 헬스케어 및 AI융합 기술특허다.
미소정보기술은 전국의 대학병원 및 상급종합병원등을 고객으로 흩어져 있는 의료데이터 통합 및 임상연구 솔루션 위주에서 빅데이터 플랫폼사업으로 확장하며 매년 괄목할 만한 사업성과들을 만들고 있다. 이번 특허들은 병원, 공공기관, 제조기업에 꼭 필요한 AI융합기술들로 미소정보기술의 멀티모달 데이터플랫폼 ‘스마트빅’과 AI솔루션(스마트AL, 미소봇, 스마트FDC, 데이터스캔, 스마트MDQ 등)에 적용해 기술개발을 고도화 시켰다.
기업이 보유한 특허 포트폴리오는 기술력을 입증하는 핵심 지표다. 미소정보기술은 R&D 투자 성과를 플랫폼에 적용해 솔루션 경쟁력을 강화하며 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특히, 특허 의존도가 높은 산업에서는 기업 간 기술 보호 경쟁이 심화되면서 핵심 기술에 대한 특허 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미소정보기술은 현재 특허등록 30여건을 비롯해 국내외 총 100여건의 특허출원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머징 AI+X 톱 100’ 4년 연속 선정, 과기정통부 우수기업연구소 연속 지정, 식약처 의료기기 GMP인증, K-PaaS 인증등 인공지능(AI)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데이터품질진단 분야 업계 최초로 클라우드 보안인증 ‘CSAP’를 취득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로 한국의 AI전략에 큰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미 중국과 한국의 AI 기술 격차는 곳곳에서 경고 신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AI 관련 특허 수에서 중국이 압도하며 원천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의 ‘생성형 AI 특허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까지 최근 10년간 출원된 생성형 AI 특허는 총 5만 4000건이며, 이 중 중국이 3만 8000건 이상을 보유해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미국은 6276건으로 2위, 한국은 4155건으로 3위에 그쳤다. 이는 중국의 9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우리 정부도 ‘세계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뒤늦게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중국처럼 국가 차원의 대규모 투자와 기존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기술 혁신을 가능하게 할 제도 마련, 그리고 AI 전문 인재 및 스타트업의 집중 육성이 필수적이다.
미소정보기술 손진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생성형 AI 사업 선점을 위해 원천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며, AI 활용과 디지털 전환이 일상화된 시대에 AI 융합 특허를 통해 의료·제조 등 데이터 산업 발전을 가속화하고, 다양한 분야의 혁신을 촉진하는 기술적 독창성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김우용 기자>yong2@byline.network
[컨퍼런스] AI 에이전트와 지능형 인터페이스 시대
◎ 일시 : 2025년 3월 27일 오후 12:30 ~
◎ 장소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ST Center (과학기술컨벤션센터) 지하 1층 대회의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