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달아 관심 쏠린 카카오엔터-픽코마 “여러 요인 종합해 상장 시기 검토”

카카오엔터테인먼트-픽코마, 상장 시기 검토
국내보다 일본과 북미 등 글로벌 입지 강화 행보
‘나 혼자만 레벨업’ 등 초대형 멀티유즈 성공 사례 배출

“상장 시점은 기업과 주주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에 맞추어 진행할 예정이며, 상장 시장 또한 국내를 포함해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적절한 가치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대안을 두고 열린 자세로 검토 중입니다.”(카카오엔터테인먼트)

“상장 관련, 시장환경과 여러 요인을 종합하며 상장 시기를 검토하고 있습니다.”(카카오픽코마)

27일(미국 현지시각), 네이버웹툰 본사인 웹툰엔터테인먼트(대표 김준구)의 나스닥 상장으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카카오픽코마의 행보에도 덩달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두 회사는 상장 여부와 관련해 “검토 중”이라며 말을 아꼈다. 기존 입장과 동일하다.

카카오는 2023년 4분기 카카오 실적발표에서 “(일본 자회사인) 픽코마는 올해 보다 파급력있는 대작 IP(지식재산)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용자 기반을 더욱 확대해 일본에서 입지를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카카오픽코마가 운영하는 전자만화 소설 플랫폼 픽코마는 2023년 거래액으로 사상 처음 1000억엔을 경신했다. 단일 플랫폼으로 거래액 1000억엔 경신은 첫 사례라고 강조했다. 일본 앱마켓에서 게임을 포함한 전체 카테고리의 앱 가운데 소비자지출 순위 1위에 오르며 최고 입지를 다졌다. 2023년 연간거래액과 매출 모두 전년대비 두자릿수 성장을 보였고, 월간활성이용자(MAU)는 1000만명을 돌파했다.

카카오픽코마는 올해 더 많은 이용자가 픽코마 플랫폼 안에서 다양한 재미있는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적극적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모바일에서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만화를 감상하는 환경과 기회를 넓혀 만화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현재 자체 웹툰 플랫폼인 ‘카카오웹툰’ 또는 카카오 자/관계사 플랫폼을 통해 북미, 일본 등에 진출했다. 현재 국내에서 1만5000여개의 가장 많은 웹툰, 웹소설 IP를 보유 중이라는 설명이다. 매해 50여 건의 영상화 판권을 판매하고 있다.

최근 원소스 멀티유즈 초대형 성공 사례도 기록 중이다. 전 세계 누적 143억뷰를 기록한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표 슈퍼 IP인 ’나 혼자만 레벨업’이 대표 사례다. 넷마블이 출시한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게임은 출시 한달만에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파악된다. 애니메이션 ‘나 혼자만 레벨업’은 일본 애니메이션 명가 중 하나로 꼽히는 A-1 Pictures와 협업 제작해 방영했다. ‘나 혼자만 레벨업’ 대체불가토큰(NFT)은 카카오 자회사 그라운드 X가 운영하는 한정판 디지털 작품 유통 서비스 ‘클립 드롭스’와 함께 2종을 발매하고, 공개 1분 만에 완판되는 기록을 세웠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올해 북미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성장을 일굴 예정이다. 북미 합병법인으로 새롭게 출범한 타파스엔터테인먼트 산하 세 개 플랫폼(타파스, 래디쉬, 우시아월드)의 운영 및 성장 전략을 정립하고 본격적인 미국 진출 발판을 다지는 시기를 거쳐 올해 타파스의 사용자경험(UX)·환경(UI) 고도화 및 AI 기술(헬릭스 푸시) 적용 등으로 꾸준히 우상향 중이라고 전했다.

북미 플랫폼인 타파스(Tapas)는 웹툰과 웹소설을 모두 서비스하는 플랫폼이다. 타파스 내 공급 중인 한국 작품은 990여개로, 올해만 약 1000개 IP를 추가로 공급할 계획이다. 래디쉬(Radish)는 웹소설 플랫폼이다. 래디쉬의 주요 인기 오리지널 작품은 로맨스 중심의 웹소설IP이며 올해부터 래디쉬에 카카오엔터의 웹소설 IP를 점진적으로 진출시켜 현지 IP와 함께 더 다양한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세계 최대의 아시아 판타지 서비스이자 무협, 액션 판타지 중심의 우시아월드(Wuxiaworld)의 합류까지 이어지면서 다양한 독자층을 모두 포섭한 유일의 영문 웹소설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우시아월드는 월 정액제 구독 모델이 순수 콘텐츠 매출의 85%를 차지하는 생태계를 구축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대호 기자>ldhdd@byline.network

[컨퍼런스] AI 에이전트와 지능형 인터페이스 시대

◎ 일시 : 2025년 3월 27일 오후 12:30 ~
◎ 장소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ST Center (과학기술컨벤션센터) 지하 1층 대회의실 2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