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2024년 1분기 영업이익 1630억원…“차별화 콘텐츠로 본업 성장”
신세계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7% 늘어난 1630억원을 기록했다. 회사는 차별화된 콘텐츠로 본업인 백화점을 키움과 동시에 주요 자회사의 실적 또한 내실 있게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세계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총매출이 전년 대비 2.6% 늘어난 2조8187억원,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7% 늘어난 163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본업인 백화점 사업은 1분기 매출 최대치를 경신했다. 백화점 사업의 올 1분기 총 매출은 전년 대비 7.9% 늘어난 1조8014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1% 늘어난 1137억원을 기록했다.
신세계 측은 백화점 사업의 성장에 대해 “차별화된 콘텐츠를 앞세워 많은 고객들의 선택을 받았다”고 밝혔다. 회사는 올해 1월 모바일 앱을 리뉴얼하고, 2월에는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스위트파크를 열었다.
또 올 상반기 내 온오프라인 시너지를 내 성장세를 이어가는 데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강남점 식품관과 타임스퀘어 패션관 등을 리뉴얼하고, 모바일 앱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자회사도 내실을 챙기는 데에 집중했다. 신세계까사의 올 1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30% 늘어난 685억원, 영업이익은 10억원을 내며 분기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회사는 수면 전문 브랜드 ‘마테라소’와 베스트셀러 소파 ‘캄포’ 등 메가히트 상품에 힘입어 매출액이 전년보다 큰 폭으로 늘었으며, 물류 운영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등 사업 구조가 안정화됐다고 설명했다.
신세계라이브쇼핑의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16.7% 늘어난 782억원,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6억원을 기록했다. 블루핏, 에디티드, 엘라코닉 등 패션PB의 호조가 긍정적인 영향ㅇ르 미쳤다.
신세계는 면세점 사업을 맡은 신세계디에프에 대해 인천공항 트래픽 증가와 매장 오픈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신세계디에프의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4.8% 감소한 4867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영업이익은 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1억원 감소했다.
신세계센트럴시티는 영랑호 리조트 영업 양수 효과와 임대 수익 증가로 올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성장했다. 올해 1분기 신세계 센트럴시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5% 늘어난 889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44억원 늘어난 262억원을 기록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1분기 실적 경우, 코스메틱 사업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올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9% 줄어든 309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억원 늘어난 112억원이다. 코스메틱 부문의 올해 1분기 매출이 1043억원, 영업이익 65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냈다. 회사는 “자체 화장품과 수입 화장품이 모두 호실적을 보이는 가운데 고기능 스킨케어 브랜드 ‘연작’, 럭셔리 뷰티 브랜드 ‘뽀아레’, 하이엔드 스킨케어 브랜드 ‘스위스퍼펙션’ 등 자체 브랜드가 호실적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패션부문 사업 구조 효율화와 성장성 높은 브랜드 중심 포트폴리오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세계 관계자는 “녹록지 않은 업황과 치열한 커머스 경쟁 속에서도 백화점 역대 1분기 최대 매출과 연결 회사들의 고른 성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입증했다”며, “백화점의 콘텐츠 혁신과 자회사들의 견고한 실적을 바탕으로 내실 있는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