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1분기 영업손실 났지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카카오페이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5% 늘어난 1763억원, 영업손실이 97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약 1억6700만원으로 흑자전환을 했다.   

매출 증대와 관련해 카카오페이 측은 해외결제와 오프라인 결제 성장이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결제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4% 증가한 1200억원이다. 금융서비스는 대출∙투자∙보험 전 영역이 연간 두 자릿수 이상 매출 성장을 보였다.

왼쪽부터 거래액(TPV), 매출액, 당기순이익 (자료=카카오페이)

영업손실은 영업비용 증가로 불가피했다. 카카오페이의 1분기 영업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1861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융서비스 사업 확대에 따른 인원 증가 영향으로 인건비가 증가했고, 카카오페이증권과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매출 증가에 따라 수수료와 서비스 비용이 늘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무료 웨비나] 아이덴티티 보안 없는 보안 전략은 더 이상 안전할 수 없습니다

◎ 일시 : 2025년 7월 15일 (화) 14:00 ~ 15:30
◎ 장소 : https://bylineplus.com/archives/webinar/53537

카카오페이 측은 “각 사업의 손익구조와 성장 속도를 고려해 전략적으로 비용을 집행하면서 손익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1분기 자회사를 떼어낸 카카오페이의 별도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478억원을 기록했다.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118억원, 당기순이익은 212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8%, 당기순이익률은 14%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약 40조 9000억원을 기록했다. 그 중에서도 결제서비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해외결제와 오프라인 결제액이 연간 성장률을 지속했고, 페이민트가 연결 자회사에 편입되며 오프라인 결제 거래액의 상승을 견인했다. 금융서비스 거래액은 대출 갈아타기와 주택담보대출의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비 61% 증가했다. 송금 등 기타서비스는 24%의 견조한 상승세를 보였다.

카카오페이는 이번 분기 국내 간편결제사 중 최다 결제 가능 점포를 확보하며 앞으로의 성장을 더욱 기대하게 했다. 카카오페이의 자체 가맹점은 103만 개로 지난해 1분기보다 18% 늘어났다. 여기에 제휴를 통해 삼성페이의 300만 개 결제처와 제로페이의 110만 개 소상공인 매장에서 카카오페이 결제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사실상 사용자 디바이스에 무관하게 국내 대부분의 점포에서 사용이 가능한 범용성 높은 간편결제 서비스로 거듭났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첫 댓글

  1. 카카오 뱅크랑, 카카오 페이를 합병을 하지 않는 이상은 카카오 페이에게 의미있는 흑자전환은…….. 힘들지 싶네요. 중국 대주주 이해관계와 은행업이라 합병이 될려나 모르겠지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