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영 KB AI센터장 “생성형AI, 이제 차별적 서비스 고민할 때”
“내년도 금융권은 생성형 인공지능(AI)과 관련해 더 이상 기술모델이 아닌 실제 비즈(Biz)의 이야기를 할 것이다. 기술은 이미 고도화가 된 상태이기 때문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무엇을 할 것인지 결정을 해야 한다. 차별적인 서비스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오순영 KB국민은행 금융AI센터장은 1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결제원의 ‘페이먼트 인사이트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오 센터장은 “금융권은 (생성형AI에 대해) 차별적인 서비스 고민이 필요하고 투자자본수익률(ROI)를 정량화할 수 있는 것을 찾아야 하며 경험을 내재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튜닝도 어떤 식으로 할지 다양한 경험을 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료 웨비나] 아이덴티티 보안 없는 보안 전략은 더 이상 안전할 수 없습니다
◎ 일시 : 2025년 7월 15일 (화) 14:00 ~ 15:30
◎ 장소 : https://bylineplus.com/archives/webinar/53537
현재 금융권에서는 생성형AI가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 대출 의사결정 관리, 개인화된 대화형 서비스, 상품 추천, 재무예측, 회계 자동화 등 다양하다. 다만, AI 원천 기술에 대한 기술장벽이 사라진 가운데, 혁신적 활용 사례를 통한 차별화에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오 센터장의 주장이다.
그러나 생성형 AI를 무분별하게 쓰기에는 걸림돌이 있다. 오 센터장은 “금융권은 어느 분야보다 신뢰성, 건전성이 중요하며 생성형AI의 성능은 좋지만 잘 알고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글로벌하게 생성형AI를 도입해서 쓰고 있으나 설명가능성 등의 문제점이 있어 대고객 서비스로 바로 오픈했을 때 핸들링이 불가능하다”며 “KB의 경우 내부적으로 직원들을 위해 보조적인 역할을 먼저 실험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점에서 금융권이 생성형AI를 활용하기 위해 풀어야 할 숙제 중 하나가 데이터다. 금융권의 경우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는 방대하지만, 이를 생성형AI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데이터를 만들어야 한다. 또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들어올 때 이를 어떻게 즉각적으로 반영할지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
AI 거버넌스 또한 중요하다. 신뢰가 중요한 금융업 특성상, 자칫하면 윤리 문제, 정확도 등으로 고객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민은행이 자체적으로 AI 거버넌스 체계를 만들어 발표한 이유다.
오 센터장은 “금융분야는 신뢰성이 상당히 중요하기 때문에 어떻게 갖춰갈 수 있을지 고민을 해야 한다”며 “그 다음에는 관련된 감독, 규제 등 법에 대한 것도 상시적으로 챙겨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오 센터장은 생성형AI에 대한 쓰임이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작업 자동화, 위험평가, 사기탐지, 고객서비스, 제품 혁신 등은 생성형 AI 활용의 시작일 뿐”이라며 “다만,아직은 정교함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성형AI는 당분간 사람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여정의 가속화, 직원 효율성, 고객 신뢰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이 필요하다”며 “심각한 윤리적, 법적 어려움 등 생성형 AI 규제, AI 거버넌스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