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스테이지, 자연어 처리 학회 ‘EMNLP 2023’에서 논문 2편 발표

업스테이지는 자연어 처리(NLP) 분야의 권위 높은 학회에서 논문을 발표하며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성과를 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업스테이지는 최근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회인 ‘EMNLP(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2023’에서 논문 2편을 발표했다. EMNLP는 AI 번역과 챗봇, 기계 독해 등 언어 데이터 기반 자연어 처리 접근법과 관련된 연구를 다루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학회라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지난해 EMNLP 2022에는 총 3242편의 논문이 제출됐고 이 중 715편만 통과되며 22%의 채택률을 기록했다. 올해 EMNLP 2023 행사는 12월6일부터 12월10일까지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며 구글을 비롯해 애플, 아마존, 바이두 등 세계 유수의 AI 기업이 참여한다.

이번에 채택된 논문 2편은 한국어 관련 NLP 연구 성과로 업스테이지의 박찬준 테크 리드 주도로 고려대 임희석 교수 연구팀과 협업을 통해 진행됐다.

첫 번째 논문 ‘KEBAP: Korean Error Explainable Benchmark Dataset for ASR and Post-processing’은 한국어 음성인식 후처리기와 관련한 새로운 벤치마크 데이터셋을 구축한 논문이다. 음성인식 모델의 약점을 평가하고 식별하기 위한 새로운 평가 방법론을 제안한다.

업스테이지 관계자는“음성과 텍스트 레벨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 음성인식 모델의 약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전통적인 평가 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한 논문”이라며 “음성 및 텍스트 수준 오류를 통합적으로 고려, 모델의 설명 가능성을 향상시킨 연구”라고 설명했.

두 번째 논문 ‘CHEF in the Language Kitchen: A Generative Data Augmentation Leveraging Korean Morpheme Ingredients’은 한국어의 특성을 살린 새로운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제안했다. 한국어의 특성을 기반한 새로운 데이터 증강 방법론 ‘CHEF’를 통해 같은 재료로도 한국어의 특징을 반영,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하고 생성형 언어 모델이 한국어 형태소 조합을 다양하게 변형해 데이터를 증강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이번 EMNLP 2023을 비롯 다양한 글로벌 학회에서 연구 성과를 낼 수 있어 무척 기쁘다”면서 “업스테이지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성과를 바탕으로 누구나 최고 성능의 AI를 더 편리하게 이용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진호 기자>jhlee26@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