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투자 막히자 신사업 활로 찾는 온투업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이 신사업으로 활로를 찾고 있다. 숙원사업이었던 기관투자 유치가 규제로 인해 가로막힌데다 투자자들의 개인투자 한도가 낮아 업계가 불황을 맞았기 때문이다. 온투업계는 역량을 쌓아놓은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기반으로 각종 기업용(B2B) 솔루션을 만들어 공급하는 등 금융권을 대상으로 한 B2B 사업에 나섰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온투업체 어니스트펀드, 피플펀드, 데일리펀딩은 기존 온투업 외에도 신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어니스트펀드는 종합 여신 솔루션, 피플펀드는 인공지능(AI) 금융리스크 솔루션, 데일리펀딩은 이커머스 셀러 대상의 선정산 서비스 사업을 추진 중이다.
어니스트펀드는 종합 여신 솔루션을 B2B 솔루션 모델로 상용화했다. 회사가 개발한 종합 여신 솔루션인 ‘렌딩 인텔리전스’는 AI 기반의 리스크 관리 솔루션이다. 대출에 대한 모든 정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자동학습, 분석하고 실행하는 종합 시스템이다.
신용점수 추세, 비대면 리스크 예측, 초우량 고객 예측, 회생 파산 신용회복 예측 서비스 등을 망라했다. 소상공인이나 청년대상 특화 고객 AI 솔루션, 신용 비신용정보가 포함된 빅데이터를 AI 기반으로 분석해 의심되는 금융거래 활동을 감지하는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등 다양하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여신금융에 활용할 수 있는 패키지 형태의 솔루션이다. 현재 저축은행, 카드사, 캐피탈 등 금융기관과 초기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어니스트펀드는 솔루션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한다. 따라서 수익모델은 기업으로부터 받는 구독료다. 회사 측은 내년부터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 수익모델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에 어니스트펀드는 관련 팀의 인력 확충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 B2B 솔루션은 AI랩에서 개발하고 있다.
어니스트펀드 관계자는 “여신금융 관련 기술적인 서포팅이 필요한 곳들이 많으며 주로 2금융권에서 수요가 많다”며 “이런 수요에 맞춰 맞춤형으로 솔루션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결과적으로 가시화됐다”고 전했다.
피플펀드는 AI 금융리스크 솔루션과 설명가능한 AI 모델(XAI)을 개발했다. AI 금융리스크 솔루션은 이상거래나 개인회생 등을 잡는 리스크 관리 모델로 구성됐다.
피플펀드 관계자는 “리스크 관리 기술 역량이 금융업계에 알려지면서 국내 대형 여신사들에게 B2B SaaS 방식으로 솔루션을 공급하는 협업 논의가 시작됐다”며 “작년 하반기부터 금융기관을 위한 신용평가, 관리 시범 서비스 사업을 본격적으로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XAI는 AI의 작동원리, 의사결정의 근거 등을 사용자가 이해하고 믿을 수 있게 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피플펀드의 XAI는 AI 신용평가시스템의 차입자 평가 근거를 설명하고 시장 상황 변화에 잘 적응했는지, 모형 성능이 유지되는지 설명한다.
피플펀드가 XAI를 개발하게 된 것은 여러 금융기관의 문의에 대응하면서다.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거절한 차입자에 대해 피플펀드가 승인을 내주는 것과 관련해 근거 설명을 요청해오면서다. 이를 시작으로 서비스를 솔루션화하게 됐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현재 피플펀드의 B2B 솔루션은 1, 2금융권에서 수요가 있다. 최근에는 해외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피플펀드의 B2B 솔루션은 구독형으로 꾸준한 수익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데일리펀딩은 선정산 서비스를 하고 있다. 데일리펀딩은 지난 2020년부터 온라인 셀러를 위한 선정산 서비스 ‘데일리페이’의 규모를 확장하고 있다. 이때 말하는 선정산 서비스는 온라인몰 정산일보다 데일리펀딩으로부터 먼저 판매대금을 정산받는 것이다.
데일리펀딩은 투자자로부터 펀딩을 받아 이커머스 셀러에게 선정산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러 입장에서는 빠르게 선정산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이며, 투자자 입장에서는 수익률이 8%인 초단기 중수익 금융상품이다. 이때 회사의 수익모델은 온투업 상품과 마찬가지로 투자자, 대출자에게 받는 플랫폼 수수료다. 현재 위메프, 티몬, 에이블리, 천삼백케이, 가방팝 셀러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한다.
이렇듯 온투업계가 신사업으로 피봇하는 이유는 온투업이 법제화된 이후, 기관투자 유치가 어렵고 개인투자자 한도가 낮아지면서다.
온투업계에서는 법제화로 기관투자 유치가 가능해졌지만, 구체적인 방안이 나와 있는 가이드라인이 없어 기관투자를 받을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는 이러한 내용을 금융 당국에 전달, 당국의 답변과 가이드라인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두 번째는 법제화 이후 개인투자자 한도가 생기면서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일반 개인투자자 총 한도는 4000만원이다. 동일 차입자에게는 500만원까지 가능하다. 관련해 업계에서는 개인투자자 한도가 낮다고 지적한다. 온투업은 서비스 특성상 투자 자금이 많이 몰릴수록 대출이 활성화된다. 이는 곧 업계의 수익과 직결되는데 투자한도가 낮아 대출공급량이 부족하다고 토로한다.
결과적으로 일부 업체들은 신사업을 추진하는 방향을 선택했다. 온투업계 관계자는 “기관투자 규제는 해소가 되지 않는 가운데 금융기관에서 B2B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있어 사업을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다른 온투업계 관계자는 “업계가 어려운 상황인데다가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으로 피봇이 필요했다”며 “금융권에서 자사의 기술을 적용해보려는 니즈가 있었고 이런 점이 기회로 다가왔다”고 전했다.
이어 “아직 (기관투자 유치와 관련해) 결론이 나지 않다보니 완전히 새로운 사업을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어서 기존에 역량을 보유한 CSS 모델 기반의 사업모델을 구축해서 운영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