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정보보호 산업 30조 규모로 키운다…1.1조원 예산 투입

정부가 2027년 정보보호 산업 시장규모 30조원을 목표로 1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현재 글로벌 정보보호 시장 규모가 400조원에 육박하는 가운데 정보보호 산업을 적극적으로 키워내겠다는 복안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의 ‘정보보호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제 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5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글로벌 보안시장은 사이버위협 증가와 디지털화에 따른 보안영역의 확장, 각국의 보안규제 강화로 올해 3019억달러(약 393조9000억원) 규모에서 오는 2026년까지 연평균 8.5% 지속적으로 클 전망이다.

특히, 제로트러스트·통합보안 등 보안 패러다임 전환을 계기로, 고성장 중인 글로벌 사이버 보안시장을 선점하려는 선도 기업들의 치열한 주도권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첫 번째 전략으로 보안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새로운 보안체계 적용과 스마트공장, 스마트헬스케어, 로봇, 우주·항공 등 미래산업의 보안내재화를 통해 신시장을 창출하고, 융합보안 및 물리보안 산업을 집중 육성해 글로벌 보안시장 진출을 확대한다.

제로트러스트 전환 로드맵 수립과 SBOM(SW Bill of Materials) 기반 소프트웨어 공급망보안 기술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또 주요 보안요구사항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유관부처·기관 ‘융합보안 협력체계’도 마련한다.

또한 정부 연구개발(R&D)로 국산화된 핵심부품인 CCTV 반도체칩(SoC)의 보급을 기존 10개사에서 40개사로 늘리고 2세대 반도체 칩을 양산해 세계 시장에서의 국산 제품 점유율을 확대한다. 이어 지문‧안면 중심 생체인식 성능평가 분야를 정맥 및 홍채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미래형 융합보안 시장 개척에도 집중한다. 기업 간 혁신 통합솔루션‧서비스 개발을 위한 민간주도형 전략적 협업 추진연대인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를 구축한다.

중동·동남아 등 신흥시장 공략 차원으로 지난 7월부터 중동 거점을 사우디로 재편하는 데 이어 베트남 건설을 오는 12월 추진한다. 신흥시장 기금‧공공조달 사업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민·관 협력형 ‘시큐리티 팀 코리아’를 구성한다.

아울러 우리 기업의 글로벌 시장진출 가속화를 위해 시설확충, 펀드조성, 인재양성 등 지속성장 환경 조성에 집중 투자한다. 이를 위해 ▲판교(보안 스타트업 육성) ▲부울경(지역 보안사업 강화) ▲송파(글로벌 시큐리티 클러스터) 등 지역에서 ‘K-시큐리티 클러스터 벨트’를 조성하고 국내기업 해외진출 가속화를 위한 전진기지로 키운다.

오는 2027년까지 총 1300억원 규모로 예상되는 민관합동 사이버보안 펀드를 조성한다. 제로트러스트와 인공지능(AI) 등 유망 분야 스타트업 지원, 기업 간 인수합병(M&A)를 통한 규모 확대 지원에 펀드액의 50% 이상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미래 산업 성장에 필수적인 전략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선도국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에도 나선다. 미래 대응을 위한 사이버보안 중점기술을 확보하고 미국·독일·핀란드 등 사이버보안 분야 강국과 협업해 글로벌 수준의 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최근 글로벌 보안시장은 통합보안이라는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기업 간 협업과 공조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등 격변의 시기”라며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 변화를 발 빠르게 준비하고, 신흥시장을 공략할 탄탄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일은 단 하루도 늦출 수 없는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진호 기자>jhlee26@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