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너, 마블 자비스 닮은 ‘AI 워크스페이스’ 출시
[무료 웨비나]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플레어를 소개합니다
◎ 일시 : 2025년 2월 6일 (목) 14:00 ~ 15:00
[무료 웨비나] 중동의 ICT 및 테크 기업 생태계 – 사우디 아라비아, UAE를 중심으로
◎ 일시 : 2025년 1월 23일 (목) 14:00 ~ 15:10
국내 첫 ‘자율 AI 에이전트’ 공개
인공지능이 이용자 요구 분석 후 자동 작업 수행
”사람 개입이 필요하던 코파일럿에서 진일보”
초개인화 생성 AI 스타트업 라이너(LINER, 대표 김진우)가 국내 첫 자율 AI 에이전트 서비스인 ‘AI 워크스페이스’를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자율 AI 에이전트(Autonomous AI Agent)’는 사람의 개입 없이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을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수행하는 인공지능을 뜻한다. 명령을 내리면 AI가 스스로 문제를 분석하여 쉽게 해결 가능한 작은 단위의 문제로 분리하고 각각을 해결한 뒤, 그 결과를 종합해 답을 내어주는 기술이다. 마블 영화 속 인공지능 비서인 ‘자비스’와 유사한 형태라는 설명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오픈AI 엔지니어가 창업한 스타트업 ‘어뎁트(Adept)’가 자율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약 6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으며 창업 1년 만에 유니콘 기업으로 등극한 바 있다.
라이너에 따르면 자율 AI 에이전트 ‘AI 워크스페이스’는 국내 첫 시도다. 사용자가 복잡한 명령을 내려도 AI 시스템이 자체적인 판단을 통해 요청을 여러 문제로 나누고 각각 해결한 뒤 최종적인 결론을 내놓는다. 기존 챗봇에게 질문을 하면 나오는 나열식 답변을 넘어 복합적이고 능동적인 솔루션을 통해 업무 생산성 극대화를 돕는다.
예를 들어 챗GPT의 경우는 ‘국내 거대 언어 모델의 사례와 발전 동향에 대해 조사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스타트업은 어떤 전략을 구상하면 좋을지에 대해 설명해줘’라는 질문에 구체적인 케이스나 흐름과 제언을 종합한 답변은 불가능하고 일반적인 사실 중심으로 대답한다. 하지만 AI 워크스페이스는 같은 질문을 사례와 동향, 전략 3가지로 분해하여 각각의 정보를 취합하고 올바른 내용인지 검증하며 논리 구조를 정리해 종합하여 답변하는 식이다.
라이너는 지난 2015년 창업 이후 정보 탐색과 하이라이팅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8년여 동안 약 1000만명에 달하는 이용자(MAU) 데이터를 축적했고, 이를 통해 정확도 높은 콘텐츠 추천과 초개인화로 진화해 지난달에는 AI 비서인 ‘라이너 코파일럿’을 내놨다.
앞서 출시한 ‘라이너 코파일럿’의 경우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 확장기능에 포함되면서 삼성 애플리케이션에 쓸 수 있는 최초의 GPT서비스로 등록됐다. 네이버가 이번 달 새롭게 출시하는 ‘하이퍼클로바X’의 초기 사용자인 ‘얼리엑세스 스타트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특히 24일에는 라이너 김진우 대표가 ‘팀네이버 컨퍼런스 단(DAN)23’에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과 함께 서비스 시연 등 발표에 나선다.
라이너 김진우 대표는 “이번 AI 워크스페이스 출시를 통해 사람 개입이 필요하던 코파일럿에서 한층 진일보한 자율 AI 에이전트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일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라이너는 지난 2015년부터 정보 탐색 혁신을 목표로 해왔던 만큼, 영화 속 ‘자비스’같은 AI 비서를 점차 현실화하며 더 많은 사람들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대호 기자>ldhdd@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