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유튜브는 무시? 매해 반복되는 ‘뉴스 알고리즘’ 논란

포털의 뉴스 검색 알고리즘이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여당이 윤석열 대통령 관련 뉴스 배열을 문제 삼는 등 뉴스 알고리즘의 공정성을 지적하자, 지난 2일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가 네이버의 뉴스 알고리즘 실태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정치권발 기사가 동력이 됐다. 최근 네이버 뉴스 검색 알고리즘의 인위적 개입 보도가 있었다는 게 방통위 실태 점검 이유다.

정치권에서 뉴스 알고리즘 조작 의혹 제기는 해묵은 이슈이나, 방통위가 직접 실태 점검을 밝힌 적은 사상 처음이다. 더욱이 방송통신위원장이 공석이고, 상임위원 5인 중 2인의 자리가 빈 가운데 이 같은 발표를 냈다. 정치권 움직임에 부응한 방통위의 노골적인 포털 압박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정치권의 포털 뉴스 알고리즘 의혹 제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주로 현 여당이 제기했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의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뉴스 알고리즘 조작 의혹’을 거론하면서 “알고리즘이 아니라 갈등으로 끌어들이는 ‘갈고리즘’”이라며 강도 높은 발언을 섞었다.

박 위원장은 “알고리즘이 ‘악마의 도구화’하고 있다. 국민을 진영에 가두고 극단화시키는 폐단을 더 키우고 있다”며 “방송통신위원회가 전기통신사업법 상 금지행위 위반 여부 등에 대해 긴급 실태점검에 나선다고 한다”고 실태 점검의 당위성을 부여했다.

매해 그렇지만, 네이버는 바짝 엎드렸다. 이렇다 할 입장이 없다. 대신 네이버 뉴스 검색 알고리즘에 대한 포스트를 하나 전달했다.

<관련 링크: 네이버 뉴스 검색 알고리즘 요소 <언론사 인기도>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검색 알고리즘은 20여개 요소 구성’ 이걸 밝혀?

네이버가 다이어리 포스트를 통해 밝힌 뉴스 검색 알고리즘 요소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붙인다.

네이버 뉴스 검색 결과는 20여개의 다양한 알고리즘 요소로 이뤄진다. 이 중 조작 의혹 지적이 나온 ‘언론사 인기도’에 대해선 뉴스 검색 알고리즘 요소 20여 개 중 하나의 요소일 뿐, 검색 결과를 크게 뒤바꿀 만큼 영향을 주는 요소는 아니라고 밝혔다.

정치권이 알고 싶어하는 검색 알고리즘을 헤집어보자면, 그 끝엔 변수(알고리즘 요소)가 있지 않나 싶다. 변수만 알면 알고리즘의 손쉬운 공개 검증이 가능하다.

그러나 구글을 비롯해 플랫폼 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중에 변수를 공개하는 기업은 없다. 공개하는 순간, 노출 순위 조작을 위한 어뷰징(불법적 활용)이 판을 치게 된다. 네이버 뉴스캐스트 당시처럼 제목 장사가 횡행하고 순위를 올려주겠다고 장사하는 불법 마케팅 회사가 난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뷰징하는 쪽을 창이라 한다면, 알고리즘은 일종의 방패인 셈이다.

네이버는 “뉴스 검색을 구성하는 알고리즘 전체 요소에 언론사의 성향을 분류하거나 구분 또는 반영할 수 있는 요소는 전혀 없다”면서 “특정 정당의 뉴스 알고리즘 편향성 지적 및 알고리즘 공개 입법 추진으로 인해 이를 반영했다는 주장은 또한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분명히 했다.

최근 네이버는 외부 인사로 구성한 3 알고리즘 검토위원회를 발족했다. ▲한국인공지능학회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한국정보과학회 인공지능소사이어티 ▲카이스트 인공지능 공정성 연구센터 등의 학회 및 기관에서 추천한 전문가 중 총 6인의 위원들로 구성됐으며, 위원장으로는 유창동 위원(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이 선출됐다. 기존 위원회 운영을 감안하면, 검토 결과 공개는 이르면 연말 내지는 내년 초가 될 전망이다.

구글 뉴스 알고리즘은? 핵심만 공개

구글도 뉴스 검색 알고리즘을 운용 중이다.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하진 않는다. 관련 페이지<링크>에 ▲콘텐츠 관련성(Relevance of content) ▲명성(Prominence)  ▲권위(Authoritativeness) ▲최신성(Freshness) ▲위치(Location) ▲언어(Language) 요소를 밝혔다.

이 중 명성은 매체가 특정 뉴스를 많이 다루고 사이트에서 해당 기사를 얼마나 눈에 띄게 다루고 있는지, 또는 기사가 다른 출처에서 많이 인용됐는지, 중요한 원본 보도가 포함돼 있는지 고려하는 변수다. 권위는 소스의 신뢰성과 고품질 여부를 판단하는 요소다. 이 정도 수준에서 알고리즘 운용을 설명하고 있다. 이들 변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구글 외엔 알 수 없다.

구글도 국내 사업자와 마찬가지로 “구글 시스템 중 어느 것도 게시자 또는 사용자의 이데올로기 또는 정치적 성향을 평가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며 선을 그었으나, 사실상 검증 불가다. 이번 정치권 발언을 예외 없이 고려한다면, 구글도 충분히 검증 대상이자 공정성 도마 위에 오를 수 있다.

정치권 지적에 다음 없고, 유튜브 빠져

이번 정치권 인사의 뉴스 알고리즘 지적엔 포털 다음(카카오)이 빠져 있다. 늘 네이버와 함께 거론되다가 자연스럽게 언급이 안되는 분위기다. 다음 입장에선 다행과 동시에 아쉬울(?) 법하다. 정치권이 논외로 둘 만큼, 다음 검색 점유율이 낮아서일까. 실제로 그렇다.

인터넷트렌드 2023년 6월 검색 점유율 집계 갈무리

웹사이트 분석업체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지난 6월 한달간 검색 점유율은 네이버 56.63%, 구글 33.99%, 다음 4.47% 순이다. 전년 6월 점유율은 네이버 63.1%, 구글 26.25%, 다음 4.83% 순이다. 다음은 작년부터 검색 점유율이 4%대로 접어들어, 일별 점유율 기준으로는 3%대를 오가기도 한다.

최근 카카오는 포털 다음 뉴스 댓글 시스템을 ‘24시간 채팅’을 여는 방식으로 바꿨다. 기사 공개 24시간이 지나면 하루동안 쌓인 댓글이 모두 사라진다. 검색 점유율 경쟁에서 이탈한 가운데 인터넷 공론장 역할마저 대폭 축소했다.

눈여겨볼 부분은 네이버 검색 점유율도 하락세라는 것이다. 작년과 비교해 올해 들어 네이버가 60%대에서 50%대로 내렸고, 구글이 20%대에서 30%대로 올라왔다.

특히 정치 공론장이 된 유튜브를 즐겨 찾는 이용자 수는 네이버를 앞선 지 오래다. 이제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대로 라면 국내 월 사용자 기준 유튜브가 사상 첫 1위에 올라도 이상하지 않다.

모바일인덱스 월간활성이용자(MAU) 집계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카카오톡이 4145만8675명으로 1위에 올랐으나, 2위 유튜브(4095만1188명)와 불과 50여만명 차이에 그쳤다. 같은 기간 네이버 MAU는 3888만5316명을 기록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대호 기자>ldhdd@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