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빨이 진리지’ 레노버 초고성능 워크스테이션의 화려한 변신

검정과 빨강의 기막힌 색 조합의 레노버 워크스테이션이 모습을 드러냈다. 27일 한국레노버가 서울시 논현로 에스제이쿤스트할레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최신 워크스테이션(전문가용 컴퓨터) 시리즈인 ▲씽크스테이션(ThinkStaion) PX ▲싱크스테이션 P7 ▲씽크스테이션 P5 신제품 3종 출시를 알렸다.

<관련기사: 한국레노버, 애스턴마틴 기술 더한 씽크스테이션 신제품 3종 출시>

현장에서 접한 신제품 3종은 탱크처럼 투박한 기존 워크스테이션과 달리 예뻐 보이기까지 했다. 게다가 괴물급 성능까지 챙겼다. 레노버가 여러 번 강조한 부분이다. 경쟁사에 없는 120개 CPU 코어를 버틸만한 섀시를 만들어냈다. 영국의 슈퍼카 브랜드 애스턴마틴과 제휴하면서 극한의 성능을 끌어낼 수 있도록 원활한 열 순환을 위해 냉각 시스템 전반을 재설계한 것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레노버 씽크스테이션 신제품 출시 행사 전경

신제품의 요란한 등장

행사가 시작되자, 난데없이 슈퍼카의 우렁찬 배기음이 고막을 때렸다. 한국레노버 신규식 대표가 애스턴마틴의 슈퍼카에 시동을 걸면서 등장한 것이다. 신 대표는 “내연기관차를 설계함에 있어서 열 순환 컨트롤이 대단히 중요하다”며 슈퍼카 브랜드 애스턴마틴과 제휴 계기를 설명했다. 그는 “씽크스테이션 그릴 부분이 내외부 열순환에 중요하다”며 “최대 퍼포먼스를 낼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강조했다.

이형우 한국레노버 상무는 “전시장에 슈퍼카를 둔 이유는 씽크스테이션 최초 설계할 때부터 애스턴마틴 엔지니어와 협업했기 때문”이라며 “고성능 엔진 냉각을 위한 공기역학 기술을 적용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레노버는 회사의 상징인 빨간색 디자인을 과감하게 적용하면서, 애스턴마틴과 협업해 발열을 잡을 수 있게 재설계했다. 이 상무는 “장시간 방대한 데이터를 다뤄야 할 때, 극한으로 몰아가더라도 쾌적한 컴퓨팅 사용 환경이 될 수 있게 설계했다”며 “경쟁사 워크스테이션은 인텔의 최고사양 CPU(120코어)를 지원하지 못하는 섀시”라고 신제품 강점을 거듭 부각했다.

서버로도 활용 가능

이 상무는 “랙 구성에도 최적화했다”며 “서버실에 들어가면 서버가 된다”고 말했다. ▲듀얼 파워서플라이 채택을 통한 무정지 시스템 구현과 ▲시스템 온오프와 상관없이 저장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는 핫스왑 기능을 적용했다. 기존 서버에 있던 기능을 워크스테이션으로 내린 것이다.

이 상무를 씽크스테이션 PX 내부를 공개하면서 ‘툴리스 시스템’이라고 소개했다. 나사나 드라이버 필요없이 맨손으로 얼마든지 분해 조립이 가능하다. 자동차 문을 열듯이 섀시 옆면을 누르면 손잡이가 올라와 쉽게 분해할 수 있다. 섀시 내부 옆면엔 컴포넌트 설명이 붙어있다. ‘미니 설명서’로 칭했다.

그는 “서버실 랙에 일렬로 세워 두고 작업 시 유용할 수 있게 뒷면에도 파워(버튼)를 만들었다”며 “듀얼 CPU 프로세서에 메모리슬롯 8개씩 최대 16개, 경쟁사 PCI 슬롯 8개를 뛰어넘는 9개 슬롯을 갖췄다”고 신제품의 편의성과 확장성을 짚었다.

레노버 씽크스테이션 신제품 출시 행사 전경

모든 사양 채택 시 1억 육박…소음 수준은 ‘업계 평균’

신제품 3종 가운데 씽크스테이션 PX는 최저가격이 580만원대부터다. 4세대 최신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두 개를 넣고 최대 4장의 엔비디아 RTX 6000 에이다 제너레이션(Ada Generation) GPU를 장착하는 등 갖출 수 있는 모든 사양을 원할 시 거의 1억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게 이 상무 설명이다. 현존 최고 성능의 워크스테이션 주문이 가능하다.

이날 레노버는 발열 해소에 거듭 자신감을 보였으나, 워크스테이션 특성상 작업자 옆에 두기 때문에 팬 소음을 잡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상무는 제품 노이즈 레벨에 대해 “팬(전면 3개, 후면 2개 등)이 많이 들어가니까 저도 소음 부분이 걱정을 해서 본사에도 물었다”며 “팬이 많음에도 국제 규격에 맞는 업계 평균에 맞는 소음을 나타낸다라고 답변을 들었다”고 설명했다.

외신 리뷰를 보면, 씽크스테이션 PX의 경우 1850W의 파워를 갖춘 초고성능 제품인만큼 ‘조용하지는 않다’는 게 솔직한 평가다. 고사양이 필요한 작업을 진행할 경우, 소음이 두드러졌다는 소감이 있다. 그러나 랙 장착형 서버와 비교해선 ‘고요한 오아시스’ 정도로 칭한 평가가 눈에 띈다.

‘워크스테이션 업계 3위’ 경쟁 전략은?

레노버는 국내 워크스테이션 시장 3위 사업자다. HP가 앞선 가운데 델이 그 다음, 그 뒤를 레노버가 따르는 형국이다. 이날 간담회와 질의응답을 통해 강점과 경쟁 전략을 풀었다.

“온라인 비즈니스는 기존에도 잘해왔다. 대면 비즈니스를 적극 확대할 계획이 있다. 워크스테이션은 PC와 서버 중간에서 특정 수요가 있는 전문가 집단이 사용한다. 파트너 지원과 파트어의 영업력을 통해 확대하겠다. 워크스테이션 전문 파트너 프로그램을 론칭한다. 애스턴마틴, 드림웍스, 오토데스크, 다쏘, AMD, 인텔 등 전략적 파트너들이 가진 고객군과 파트너와 적극적 협력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겠다.”(신규식 대표)

“엔비디아와 인텔, AMD 등에서 내는 칩셋 성능에 맞춰서 끊임없이 혁신하고 있다. 최신 4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브 프로세서는 60개 코어다. 두개를 갖추면 120개 코어로 레노버에만 (이러한 초고성능을) 견디는 섀시가 있다. 두 경쟁사 모델 라인업을 보시면 120코어를 지원하는 워크스테이션이 없다. AI와 딥러닝,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데이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기존 제품으론 대응이 안 될 것이다.” (이형우 상무)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대호 기자>ldhdd@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