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는 왜 ‘제휴’에 꽂혔나

케이뱅크가 기업과의 제휴에 꽂혔다. 올해만 KB증권, 오아시스마켓, 스마트로 등과 연이어 손을 잡았다. 사용자에게 제휴 기업의 서비스에 가입하면 페이백을 해주는 등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케이뱅크는 이런 전략을 오픈 플랫폼이라고 부르며 어느 플랫폼에도 종속되지 않는 전략이라고 소개한다. 케이뱅크가 어쩌다가, 언제부터 오픈 플랫폼에 꽂히게 됐을까.

기업과의 제휴는 케이뱅크의 주요 전략 중 하나다. 케이뱅크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업과 제휴를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이목을 끄는 것은 페이백이다. 케이뱅크는 고객에게 제휴된 기업의 서비스를 이용하면 돈을 주는 혜택을 제공한다. 

가장 최근 제휴한 DB손해보험의 예를 들면, DB손보의 다이렉트 자동차보험료를 조회할 경우 모바일상품권 1만원을 지급하는 내용이다. 또 다른 제휴사인 KB증권도 마찬가지다. 케이뱅크는 자체 뱅킹 앱에서 처음으로 KB증권 계좌를 개설할 경우 국내 주식쿠폰 1만원을 지급했다. 당근마켓도 당근페이와 케이뱅크의 계좌를 연결하면 1만원을 지급했다. 

이때 케이뱅크가 얻는 것은 무엇일까. 제휴회사는 신규 고객을 확보할 수 있으며, 케이뱅크는 계좌개설 수수료를 얻게 된다. 이는 은행의 새로운 먹거리인 ‘비이자이익’에 해당된다. 동시에 케이뱅크 또한 신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케이뱅크에게 기업 제휴는 운이 좋으면 두 마리 토끼를 잡아다 준다. 

덕분에 케이뱅크의 비이자이익은 성장세다. 올 1분기 케이뱅크의 비이자이익은 81억원으로 전년 동기(19억원) 대비 4배 이상 늘었다. 

케이뱅크는 어쩌다가 제휴 전략을 펼치게 됐을까. 케이뱅크가 본격적으로 기업과 손을 잡게 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3년 전이다. 2020년 6월 케이뱅크는 업비트와 제휴를 맺고 단독으로 업비트 신규계좌 발급을 해주는 계약을 체결했다. 

두 회사의 제휴는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났다. 제휴 두 달 만에 케이뱅크는 약 100만명의 신규고객을 유치하는 성과를 보였다. 이런 고객 증가는 은행의 기초체력인 여수신 규모의 확대로 이어졌다. 케이뱅크의 수신 잔액은 2020년 말 3조7500억원에서 2021년 말 11조3200억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여신은 2조9900억원에서 7조900억원으로 늘었다.

게다가 지난 2021년에는 출범 후 첫 연간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당시 케이뱅크 측은 고객증가, 여수신 규모 확대 등이 흑자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덕분에 케이뱅크는 이후에도 연간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물론 케이뱅크의 이러한 성장이 모두 업비트의 효과라고 할 수 없으나 케이뱅크가 본격적으로 제휴 전략을 펼칠 수 있도록 해준 원동력으로 볼 수 있다.

일각에선 이러한 이유 때문에 케이뱅크의 제휴 전략이 업비트에서 시작됐다고 평가한다. 업비트를 계기로 케이뱅크의 제휴 전략이 활발해졌으며, 실제로 비이자이익이 증가하는 등 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케이뱅크는 이러한 제휴 전략을 ‘오픈 플랫폼’으로 부르고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케이뱅크는 업비트, 현대자동차, BC카드, 미래에셋대우 등 다양한 곳들과 제휴해왔다”며 “케이뱅크는 어떤 플랫폼에도 종속되지 않는 오픈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