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뜬다, 새로운 킬러앱 시장도 열린다”

“(생성형 인공지능이 떠오르는) 인터페이스 혁명에서 우수한 시장기회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일상을 바꿀 수 있는 빅테크 기업이 탄생할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은 이 시장을 지혜롭게 이용해야 합니다.”

현지웅 뤼튼테크놀로지스 머신러닝팀 리드는 <바이라인 네트워크>가 16일 주최한 ‘챗GPT와 생성AI가 만드는 미래’ 컨퍼런스에서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 기술이 또 한 번의 IT 기술 빅뱅을 일으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 리드는 이 자리에서 “인터넷과 모바일의 혁명을 이끌었던 미국 주요 투자사는 이제 생성형(Generative) 인공지능(AI)이 인터넷과 모바일을 잇는 기술 혁명이라고 평가하며, 지금을 초기 앱 생태계의 모습이라고 이야기한다”고 말했다. 이어 “생성형 AI의 초기 사업성을 검증·응용한 이후 생성형 AI 비즈니스가 등장할 것이며, 킬러 앱의 가능성은 이때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생성형 AI는 인공지능이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AI다. 현지웅 리더는 생성형 AI에 대해 “정답을 찾거나 분석하는 것을 넘어 정답이 없는 것으로 이를 개념화, 구체화할 수 있다”며 “현대사회에서 진행하는 업무의 전반적인 지식, 창작업무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최근까지 사업 아이디어 구성, 개념화, 구체화, 초안 완성은 인간의 영역이었다. 소프트웨어(SW)의 역할은 이 단계 이후부터 완성을 도왔다. 그러나 생성형 AI는 다르다. 아이디어 구성 등 초기단계부터 인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비즈니스를 기획하고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생성형 AI의 응용, 사업화 영역이다. 

현 리더는 최근의 생성형 AI 모델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눠 설명했다. GPT-3, 하이퍼클로바와 같은 ‘범용 AI모델’과 집중적으로 데이터 학습을 할 수 있는 ‘특화 AI모델’, 독점적인 데이터를 학습하는 ‘하이퍼 로컬 AI 모델’ 등이 그것이다. 

특화 AI모델은 광고 카피문구 생성, 3D 인테리어 등 특정 산업군에 맞춰졌다. 하이퍼 로컬 AI모델은 전문가를 위한 모델로, 학회를 위한 논문 작성, 기업 맞춤형 코드 생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현 리더는 “특정 케이스의 경우 사용자 데이터를 모아야 하기 때문에, 생성형 AI를 잘 응용하려면 데이터 확보가 경쟁력”이라고 전했다.  

이를 위해선 애플리케이션 레이어가 중요하다. 사용자의 워크플로우에 최적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빠르게 사용자를 선점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 리더는 “생성형 AI의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는 사람과 AI가 가장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라며 “결국 범용 AI 모델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AI 모델을 종합적으로 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머지 않아 오퍼레이팅을 해주는 레이어가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다만, 아직 생성형 AI가 초기 시장인 만큼 관련 운영체제(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레이어 기업이 등장하지 않았다. 대신, 규모가 커진 기업들은 이러한 역량을 내재화하고 있다. 뤼튼테크놀로지스도 기술 내재화를 통해 빠르게 제품을 개발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현 리더는 “생성형 AI 모델의 빠른 발전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API레이어, 하이퍼 로컬 AI모델, 특화 AI모델이 충분히 내재화 되어야 한다”며 “이 영역이 핵심 경쟁력으로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제스퍼가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 2021년 나온 제스퍼는 빠른 제품 출시를 통해 영어권 사용자들과 관련 데이터를 확보했다. 제스퍼는 사용자 데이터를 파인튜닝(미세조정)해 특화 모델을 만든다. 광고 문구 카피라이팅 등 사업에 최적화했다.

현 리더는 “범용 AI 모델 끝 지점에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공룡 기업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비즈니스 특화와 상호 운용성”이라며 “특화모델을 기반으로 인터페이스와 목표 사용자들의 워크플로우 최적화를 진행하고, 실제 사용자들에게 가치를 전달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도 네이버, SKT, KT 등 대기업 위주로 범용 AI모델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들이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현 리더는 “챗GPT처럼 범용적인 AI 모델 개발사에서 만든 애플리케이션은 기본 앱처럼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것”이라며 “다만, 단기간에 특화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응용 기업은 각 버티컬 영역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잘 구축하고 다양한 모델을 활용해 고객 데이터를 모으고, 궁극적으로 하이퍼 로컬 모델을 만들면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생성형 AI의 요소를 최대한 활용하는 기업이 승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는 “이를 위한 요소로는 ‘제로 마지널 콘텐츠 크리에이션’으로 텍스트와 이미지, 영상 같은 콘텐츠 생성을 위한 비용과 시간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며 “이는 초개인화 콘텐츠를 생성해내면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전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가까워진 기업들이 결국은 생성형 AI 기업이 될 것이란 이야기다. 

끝으로 그는 “분명한 사실은 계속해서 많은 범용 AI 모델이 나올 것”이라며 “따라서 지속적으로 다양한 모델을 계속해서 사용하고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관련 글

첫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