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 대신 LG엔솔 손 잡은 포드, 배경은?

미국 완성차 업체 포드(Ford)가 튀르키예 배터리 공장 설립을 위해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과 손을 잡는다. 한 차례 SK온과의 튀르키예 합작법인 설립 계획을 철회했던 포드는 그 대안으로 LG엔솔을 택했다.

포드는 LG엔솔, 튀르키예 대기업 코치(Koc Holding)와 전기차 배터리 생산 합작법인 설립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3사는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튀르키예 앙카라 인근 바슈켄트(Baskent) 지역에 약 25GWh 규모의 배터리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향후 45GWh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포드와 코치는 튀르키예 내 합작사 ‘포드 오토산(Ford Otosan)’을 설립해 연 45만대 규모로 상용차를 생산하고 있다. 물량 상당수는 유럽 시장에 풀린다. 3사가 설립하는 배터리 합작공장도 유럽 시장을 타깃으로 삼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LG엔솔 관계자는 “이번 합작법인 설립 추진으로 유럽 시장 내 회사의 리더십이 공고해질 것을 기대한다”며 “포드도 LG엔솔과의 파트너십 관계를 더욱 확대하고, 전동화 전환 계획의 필수 요소인 배터리 공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포드가 LG엔솔과 손을 잡으면서, SK온과의 튀르키예 합작공장 설립 무산 배경에도 이목이 쏠린다. 업계 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SK온 배터리 수율 문제가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본다. SK온은 지난 2022년 내에 흑자전환을 하지 못했는데, 업계에서는 SK온의 흑자전환이 늦어진 이유 중 하나가 공장 수율 문제라고 분석한다. 수율이 낮으면 그만큼 손실이 날 수밖에 없고, 이는 재무적으로 신규 투자를 하기에 어려운 상황까지 이르게 했다는 것이다.

한편에서는 양사와의 관계 측면보다 SK온의 선택과 집중 전략 때문으로 바라본다. 여전히 두 기업은 미국에서 ‘블루오벌SK’라는 합작법인으로 협업 체제를 이어가고 있다.

익명을 요청한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모든 배터리 기업이 그렇듯 처음에는 미국 시장에 주력하고, 이후 유럽을 비롯한 다른 지역에 진출하는 경향이 있다”며 “SK온도 마찬가지로 미국 시장에서 먼저 자리를 잡은 뒤, 유럽 시장을 공략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국내 배터리 시장 전문가는 “포드가 SK온과 튀르키예 합작법인을 설립하지 않게 된 이유는 SK온의 선택과 집중 전략 때문이라는 말도, 수율 및 재무적 상황이라는 말 모두 일리가 있다”면서 “결국 SK온이 직면한 현재 상황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전문가는 이어 “다만 SK온의 배터리 공장 수율은 4분기에 의미 있게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해 추후 유럽 공략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이번 협업과 관련해 리사 드레이크(Lisa Drake) 포드 전기차 산업화 담당(Ford EV Industrialization) 부사장은 “포드는 미래 전기차 혁명을 주도하기 위해 전기차 전환 계획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전기차 생산기지 인근에서 배터리를 생산하겠다는 약속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있다”며 “이번 협업으로 탄탄한 생산기반을 마련하고, 성장하는 유럽 전기차 시장의 미래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코치 관계자는 “이번의 대대적인 투자가 국가적인 재난의 시기를 극복하는데 큰 역할을 해주리라 믿는다”며 “자동차 산업에서 튀르키예가 글로벌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두 기업과 함께 시설 투자를 확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글.바이라인네트워크
<배유미 기자>youme@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