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에 대한 KB금융과 네이버파이낸셜의 관점

요즘 기술 업계의 화두는 단연 ‘챗GPT’다. 사람처럼 대화하고 글을 쓰고 코딩을 하는 등 무언가를 만들어낸다. 특히 영역을 가리지 않고 글,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을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전 산업군에에서 주목하고 있다.

그렇다면 금융권은 챗GPT를 어떻게 바라볼까. 

이에 대해 오순영 KB금융 인공지능(AI)센터장은 “AI 기술을 증명하는 시간이 지나고, 이제 사람 같다는 얘기가 올라오는 것 같다”며 “과거 AI 은행원, AI 교사 등 AI가 인간의 직업을 대체할 것이란 전망이 많이 나왔는데 지금은 이게 조금 말이 되는 시기가 된 것 같다”고 밝혔다. 

금융권은 AI가 과거보다 성숙된 만큼 활용도가 높아졌다고 인정하는 분위기다. 다만, 금융권이 챗GPT 같은 고성능 AI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얼마나 효용성을 얻을 수 있을지는 조금 더 관망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오순영 센터장은 “지금 핫(Hot)하게 올라오는 것과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하는 것은 조금 다른 문제”라고 화두를 던졌다. 이어 “특히 자사처럼 신뢰와 건전성이 중요한 은행에서는 여기(챗GPT의 활용)에 대해 보수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금융권에서 챗GPT를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은 많다. 챗봇, 콜봇, 디지털휴먼(AI은행원) 등 기존에 금융권에서 AI를 활용하던 영역이다. 

은행의 AI 활용영역 (자료=맥킨지)

현재 은행권에서는 고객경험 접점, 의사결정, 기술 데이터, 운영모델에 AI를 활용하고 있다. 챗봇, 아바타봇, AI스피커, 로보어드바이저부터 레그테크, 자금세탁방지, 이상거래 감지, 약관 자동 비교분석의 규제준수 영역, AI 기반의 신용평가 대출심사 보험심사, 업무자동화(RPA), 고객 데이터 분석의 금융업무 등이 있다. 모든 영역에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KB-STA의 비정형 데이터 활용

국민은행의 경우 AI 언어엔진(KB-STA)을 개발했다. 지난 2019년 8월 개발을 시작해 현재 3.0 버전으로 고도화했다. 이를 통해 고객 상담, 자연어 데이터 분석 등 고객 금융 서비스 전반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셋을 확보한다. 

다만, 기술의 활용도가 높다고 해서 무작정 도입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오순영 센터장은 “챗GPT를 한 번 돌리는데, 학습시키는데 상당한 금액이 투입된다”며 “만약 기술 회사라면 무조건 도입을 했겠지만, (은행인 만큼) 이걸 도입했을 때 고객에게 어떤 혜택을 줄 수 있고 은행 안에서 어떤 효율이 나타나는지 계산을 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챗GPT가) 좋은 건 알겠지만 이걸 어떻게 쓸지, 즉 많은 비용을 들여 조그만 혜택을 얻기 위해 쓸 수 없다”며 “이걸 씀으로서 뒷단에서 사람들이 일을 해야 한다면 여기에 대한 의문이 있다”고 전했다. 

결국 “금융 쪽에서는 이걸 먼저 도입해서 뭔가를 해보는 것보다 상황을 보면서 내부에서 준비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결론을 지었다.

기술 활용에 적극적인 핀테크 기업도 챗GPT 추이를 주목하면서 AI를 활용하고 있다. 

금융권에서 AI를 지원(챗봇), 상품 추천, 상품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다면, 네이버파이낸셜은 이 중에서도 상품 서비스에 주목한다. AI로 씬파일러(소상공인, 사회초년생 등)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 

스마트스토어 사업자 대출, 후불결제(BNPL)가 대표적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은 네이버가 보유한 스마트 스토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용대출 상품을 개발했다. 금융규제 샌드박스 지정을 통해 미래에셋캐피탈, 우리은행, 전북은행과 상품을 출시했다. 이 과정에서 네이버파이낸셜은 소상공인의 신용평가모델을 제공한다. 현재 약 누적 대출액 2000억원을 기록했다. 이 중 MZ세대 사업자 비중이 약 62%다. 

후불결제는 금융이력이 부족한 사회초년생 등 씬파일러를 위한 서비스다. 자체 신용평가를 활용해 월 30만원의 후불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가입자 비중의 약 20%, 결제금액 비중의 약 33%가 씬파일러에 해당된다. 

박홍석 네이버파이낸셜 데이터 앤 그로스 책임리더는 “AI의 쓰임새는 회사의 철학과 어떻게 연결되는지가 중요하다”며 “네이버파이낸셜은 네이버라는 생태계에서 새로운 서비스, 상품을 만드는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포용적 금융관점에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