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일 금융권 사이버보안 공조 나선다…금융보안원, 미·일 금융ISAC과 협약 체결

금융산업 부문 한·미·일 사이버협력체계가 마련됐다. 한국과 미국, 일본의 금융보안 전문기관이 사이버위협정보 공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에 나섰다.

금융보안원(원장 김철웅)은 금융보안 전문기관인 미국의 FS-ISAC, 일본의 F-ISAC과 금융부문 사이버보안 공조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14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ISAC은 정보공유분석센터(Information Sharing & Analysis Center)의 약자로, 사이버보안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분석하는 보안 전문기관이다.

미국의 FS(Financial Sector)-ISAC은 은행, 보험사 등 금융회사와 IT기업 주축으로 미국 외에 70개국에서 1만6000여개 회원사를 보유한 비영리기관이다. 주로 위협정보 수집‧분석‧공유, 모의훈련, 교육 등을 수행한다. 일본 F(Financials)-ISAC은 사단법인으로 일본 430여개 금융기관을 회원으로 하며, 27개 보안업체와 제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위협정보 및 취약점 공유, 사고대응 지원 등을 수행한다.

금융보안원은 미국과 일본의 금융보안 전문기관들과 금융부문 사이버보안 공조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14일 체결했다. 협약식에 참석한 Natsuko Inui 미국 FS-ISAC 아시아태평양지역 담당관, 김철웅 금융보안원장, Michihiro Taniai 일본 F-ISAC 이사장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왼쪽부터)

금융보안원과 이들 미·일 금융보안 전문기관은 각 국가에서 수집한 금융권 사이버 위협정보를 공유하는 등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세 기관은 15일 열리는 금융보안원 주관 금융보안 컨퍼런스 FISCON 2022 특별강연에서 한·미·일 사이버위협동향에 대한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는 미·일 금융보안 전문기관 협력의 첫걸음으로, 향후에도 상대국 방문 및 컨퍼런스 발표 등 인적·기술적 교류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금융보안원은 밝혔다.

금융보안원 김철웅 원장은 “국경 없이 발생하는 금융부문 사이버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금융보안 전문기관 간의 공조체계가 필수적”이며, “금융보안원은 미국 및 일본 전문기관과의 협력을 계기로 금융보안 해외네트워크를 확대·발전함으로써, 향후 글로벌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유지 기자>yjlee@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