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의 전자지갑 전략 ‘한 곳으로 헤쳐 모여’
[무료 웨비나]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플레어를 소개합니다
◎ 일시 : 2025년 2월 6일 (목) 14:00 ~ 15:00
[무료 웨비나] 중동의 ICT 및 테크 기업 생태계 – 사우디 아라비아, UAE를 중심으로
◎ 일시 : 2025년 1월 23일 (목) 14:00 ~ 15:10
“요즘 비슷한 기능의 전자지갑 앱이 많다. 여러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선 전자지갑을 여러 개 이용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사용자가 수많은 전자지갑에서 자산을 찾기 위해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잇따른다. 해결책은 전자지갑 협의체를 만들어 금융기관 간 경계를 허무는 통합 전자지갑을 만드는 것이다.”
정재헌 농협중앙회 상호금융디지털전략부 부장은 4일 코엑스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시큐업 세미나 2022’에서 이같이 밝혔다. 즉, 소비자 편의를 위해 하나의 전자지갑에서 여러 금융·공공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자지갑이란, 디지털화된 가치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기기상에 구현한 시스템이다. 공공·금융기관에 제출할 수 있는 신분증, 각종 전자문서를 포함해 암호화폐, 대체불가토큰(NFT), 선불전자지급수단 등이 해당된다.
농협중앙회는 다른 금융사들이 참여하는 통합 전자지갑을 만들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한국디지털인증협회 회장단으로 가입했다. 농협중앙회는 한국디지털인증협회에 속한 기업들과 함께 통합 전자지갑을 만들 계획이다. 내년부터 통합전자지갑의 청사진이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농협중앙회가 통합 전자지갑에 주목한 이유는 바로 공급이 포화됐다는 점이다. 최근 금융권과 핀테크 기업 등은 너도나도 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러 금융기관과 핀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선 전자지갑 수도 함께 늘어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찾기 위해 여러 전자지갑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 결국 농협중앙회 측은 여러 사업자의 전자지갑을 통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판단했다.
정재헌 부장에 따르면, 통합 전자지갑을 만들기 위해선 세 가지 준비가 필요하다. 먼저, 협의체 차원에서 정부, 금융기업, 핀테크 기업과 함께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서야 한다. 두 번째는 협의체에서 공동 사업 방안을 만들기 위해 전략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한다. 이때 공동 인프라를 구축한 참여 기관 간 정보를 공유하고 수요 기반 공동 연구를 통해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협의체에서 비즈니스 확산 방안을 연구해 신규 비즈니스 기회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신규 비즈니스는 금융, 행정, 건강, 교통, 교육, 복지, 국방, 근로 등 전 분야를 아우를 수 있다는 것이 정 부장의 주장이다.
정재헌 부장은 “이 세 가지는 협의체에서 공동으로 참여해 준비해야 한다”며 “농협중앙회는 디지털인증협회를 중심으로, 통합 전자지갑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