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산업 성장세 지속…작년 13조8천억 돌파·종사자 수 6만3천명

국내 정보보호(정보보안·물리보안)산업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 3년간 10% 넘는 평균성장률로 매해 1조원 이상씩 규모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정보보호 종사자 수도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가 13일 발표한 ‘2022년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결과, 2021년 정보보호 산업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전년 대비 13.4% 성장해 13조8611억원 규모를 기록했다. 최근 3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11.3%를 달성했다.

정보보호 기업의 숫자는 전년 대비 약 18.2% 증가했다. 산업 시장 규모는 정보보안 부문 16.0%, 물리보안 부문 12.1%씩 성장해 견고한 상승세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네트워크 보안, 콘텐츠·데이터 보안, CCTV 부품, 생체인식 보안 시스템 등 비대면 보안인프라 분야에 대한 수요 증가가 정보보호 산업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정보보호 인력은 전년대비 16.2% 증가했는데, 이는 일반 기업들의 보안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 활성화로 정보보호 기업의 인력 수요가 대폭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정보보호 기업은 1517개로 전년도 1283개보다 약 18.2% 증가했으며, 그 중 정보보안 기업은 669개(26.0%↑), 물리보안 기업은 848개(12.8%↑)로 조사됐다.

디지털 대전환으로 사회적으로 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기업의 보안 역량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국내 정보보호 기업의 수는 연평균(2017~2021년) 14.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국내 정보보호 산업 규모 13조 8611억원 가운데 정보보안 부문 매출액은 약 4조 5000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16.0%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의 재택근무를 위한 클라우드 환경 전환 수요 증가로 네트워크 보안(20.7%, 9432억원), 콘텐츠·데이터 보안(13.5%, 6122억원)이 국내 정보보안 시장에서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스마트 공장 등 제조업 분야에 대한 국내‧외 랜섬웨어 및 악성코드 공격 사례 증가로 운영기술(OT) 보안 및 산업제어시스템(ICS) 보안 등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정보보호 제도 개선 정책, 중소기업 대상 지원 사업 등을 통해 보안 수요가 지속 창출될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계속 수행한다는 방침이다.

전자서명법 개정, 정보보호공시 의무화, 마이데이터 취약점 점검 의무화 정책 등 정부의 정보보호 제도 개선 정책에 따라 기업들의 보안 내재화로 인한 보안 수요의 증가로 향후 정보보호 컨설팅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보안에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부가 정보보호 컨설팅과 보안제품 도입을 지원함에 따라 중소기업의 보안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물리보안 부문의 매출액은 약 9조 3000억원으로 근무환경 변화로 인한 비대면 출입통제 시장이 급성장했고, 더불어 유통·제조 환경에서의 새로운 무인 사업 등장으로 인해 시장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먼저 열화상 카메라, 안면 인식 장치 등 생체인식 보안 시스템과 같은 비대면 출입통제 시장이 급격히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안용 카메라 분야는 1조6566억 원(17.3%↑), 생체인식 보안시스템 분야는 4789억원(46.9%↑)이다.

현재 유통·제조 분야에서 무인 편의점, 소규모 무인점포와 같이 CCTV, IP카메라, 원격 출입통제 등 대규모 인프라 구축 수요가 발생할 수 있는 사업 영역의 등장으로 관련 시장 성장이 기대된다.

국내 정보보호 산업 전체 수출액은 약 2조767억원으로 전년대비 8.5% 증가했으며, 각각 정보보안 1500억원(4.8%↑)과 물리보안 1조9241억 원(8.8%↑)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시장에서 국산 CCTV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보안용 저장장치(6.8%p↑), 관련 주변 장비(150.4%p↑) 등의 수출이 크게 증가해 정보보호 산업의 수출 성장률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보보안 부문 수출은 중국과 기타 국가를 중심으로 약진했고, 물리보안 부문은 유럽과 미국으로의 수출이 소폭 증가했다. 정보보안 부문에서는 중국(18.4%p↑)으로의 수출과 중남미, 아프리카 등 기타 지역(12.4%p↑)의 수출 비중이 증가했고, 물리보안 부문에서는 미·중 무역 분쟁의 반사 이익으로 미국(4.2%p↑)과 유럽(1.8%p↑)에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정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코로나19 팬데믹과 글로벌 경기 침체, 미‧중 무역 분쟁 등 어려운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국내 기업들의 노력과 유관기관들의 협력으로 정보보호 산업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정보보호 산업이 국민의 안전을 강화하고, 디지털 융합과 혁신에 따른 대한민국 디지털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정책과 제도적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유지 기자>yjlee@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