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확인기관에 도전장 내미는 시중은행
시중은행이 본인확인기관에 도전한다. 본인확인기관은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전화번호 등을 통해 본인확인을 제공하는 곳이다. 대표적으로 통신3사의 패스(PASS)가 있다. 현재 시중은행에서는 패스를 비롯한 타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시중은행에서는 본인확인기관 자격을 부여 받아 직접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타 본인확인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고 플랫폼 전략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1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번 달 진행되는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의 본인확인기관 신청에 시중은행 중에서는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하나은행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접수일은 이번 달 21일부터 23일까지다. 본인확인기관 지정 여부는 7월쯤 발표된다. 방통위는 신청서 접수를 받고 서류심사와 현장실사, 종합심사 등을 거쳐 7월 초 본인확인기관 지정서를 사업자에게 나눠줄 계획이다.
국민은행은 본인확인기관 심사에 재도전한다. 지난해 본인확인기관 심사에 신청했으나 탈락했다. 다만, 국민은행 측에서는 지난해 모든 준비를 마치고 탈락 사유를 보완한 만큼 올해 별다른 문제없이 심사에 통과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올해 첫 심사로 준비에 분주하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본인확인기관 지정을 위한 ICT 인프라 구축을 시작했다. 하나은행에서도 본인확인기관 신청을 위한 막바지 준비에 한창이다.
시중은행이 본인확인기관에 도전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먼저, 비용 문제다. 예를 들어, A은행에서는 본인확인 서비스를 위해 B업체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본인확인을 할 때마다 A은행은 B업체에게 수수료를 내야 한다. 이때 발생하는 수수료가 연 단위로 계산하면 억 단위가 훌쩍 넘는다는 것이 시중은행 담당자의 의견이다.
한 시중은행의 인증서 담당자는 “본인확인기관에 신청하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이라며 “월간, 연간으로 따졌을 때 드는 금액이 어마어마하다”고 말했다. 이어 “직접 본인확인 서비스를 제공해 줄인 비용으로 다른 곳에 투자를 할 수 있다”고 전했다.
두 번째는 플랫폼 전략 측면이다. 현재 시중은행에서 본인확인을 하려면 관련 앱으로 이동해 생년월일, 전화번호 등을 입력한 뒤 확인을 한다. 완료가 되면 다시 시중은행 앱으로 돌아오는 구조다.
따라서 사용성 개선을 위해 시중은행에서는 자사 앱에서 모든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는 플랫폼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사설인증서를 제공하는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자격을 취득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올해를 기점으로 내년에도 시중은행의 본인확인기관 도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은 올해 신청 계획에 대해서는 미정이라고 전했다. 현재 사설인증을 위한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준비 중으로, 당장 여기에 집중할 계획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올해 본인확인기관 신청은 미정”이라고 밝혔다.
마찬가지로, 사설인증 준비에 한창인 NH농협은행도 내년 중 본인확인기관에 신청할 계획이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본인확인기관은 보안과 관련이 되어 있는 만큼 철저하게 준비를 한 뒤 내년 쯤 신청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금융권에서 본인확인기관으로 지정된 곳은 대부분 카드사다. 국민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농협카드 등이 본인확인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핀테크 업체에서는 비바리퍼블리카(토스)가 지난해 8월 본인확인기관으로 지정됐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