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머스BN] 왜 마켓컬리 김슬아 대표는 복수의결권을 기다리지 않을까
어제(12월 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복수의결권을 제도를 도입하는 법안이 국회 통과됐습니다. 스타트업 창업자에게 1주에 의결권 10개까지 부여할 수 있는 내용이 담긴 법안입니다.
한 유명 벤처캐피탈 대표가 이 소식을 페이스북에서 전하면서 한 회사의 이름을 언급했습니다. 바로 ‘마켓컬리’입니다. 복수의결권이 도입된다면 마켓컬리와 김슬아 대표에게 희소식이 될 것이라는 전망인 것입니다.
지난 3월 공개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김슬아 대표의 지분은 6.67%에 불과합니다. 2019년 말 김 대표의 지분율은 10.7%였었는데 한해 사이 4%포인트가량 줄어들었습니다. 나머지 지분은 대부분 전환우선상환주 형태로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마켓컬리는 최근에도 3조7000억원의 기업가치로 2500억원을 투자받았습니다. 김 대표의 지분이 더 줄었다는 추측이 가능하죠.
경영자의 지분율이 적은 것은 스타트업의 IPO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경영권이 쉽게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투자 매력도가 떨어집니다. 미국의 투자자들이 창업자에게 복수의결권을 주는 이유도 여기에 있겠죠.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지분율이 떨어지더라도 경영권은 안정화시키려는 의도일 것입니다.
일간 바이라인
매일 아침
바이라인네트워크의 편지를 받아주세요.
재미있는 이야기와 최신 정보가 배달됩니다.
만약 복수의결권 법안이 국회 본회의에 통과된다면 마켓컬리가 그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 먼저 복수의결권이 뭔지 살펴보고, 마켓컬리가 그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
여기부터는 콘텐츠 멤버십 ‘커머스BN 프리미엄’ 가입자를 대상으로만 공개됩니다. 가입은 네이버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커머스BN은 콘텐츠를 기반으로 커머스 가치사슬을 연결하는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만들고, 콘텐츠를 통해 산업과 산업,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여 시너지를 만들고자 합니다. 그 새로운 도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button type=”big” link=”https://contents.premium.naver.com/byline/commercebn/contents/211203172114690CM”] 바로 콘텐츠 이어보기[/button]
[button type=”big” link=”https://contents.premium.naver.com/byline/commercebn”]커머스BN 바로가기[/button]
LLM과 LangChain으로 만드는 차세대 챗봇
- 내용 : 지금까지 발전해온 챗봇의 역사를 살펴보고, LangChain 이 도입된 이후 챗봇의 미래가 어떻게 바뀔지 논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일시 : 2023년 10월 5일 14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