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다로운 리뷰] OLED와 LCD 노트북의 차이
[무료 웨비나]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플레어를 소개합니다
◎ 일시 : 2025년 2월 6일 (목) 14:00 ~ 15:00
[무료 웨비나] 중동의 ICT 및 테크 기업 생태계 – 사우디 아라비아, UAE를 중심으로
◎ 일시 : 2025년 1월 23일 (목) 14:00 ~ 15:10
자, 이종철의 까다로운 리뷰, 오늘은 OLED와 LCD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 TV를 고를 때 OLED, QLED, LED TV 이런 이야기 많이 들어보셨죠. 이중 OLED, 올레드, 아몰레드라고 부르는 것 외에는 다 LCD입니다. 이 이름을 왜 이렇게 짓냐면 OLED가 제일 좋기 때문입니다. 비슷한 느낌을 주려는 거죠.
LCD의 원리는 이렇습니다. 모니터에 그림을 띄웁니다. 그런데 이 그림이 어두워서 안 보여요. 그럼 뒤에서 빛을 비춰주죠. 이걸 백라이트 혹은 백릿이라고 부릅니다. LCD도 기본적으로는 좋은 디스플레이인데요. 문제는 검정 색상을 표현할 땝니다. LCD는 검은색을 낼 때도 검은 그림을 띄우고 흰 불빛을 비춥니다. 그래서 부-한 검은 화면이 나오게 되죠. 이걸 블루밍이라고 부릅니다.
OLED는 이 그림과 조명을 하나로 만든 겁니다. 화면 속에 아주 작은, 무수히 많은 전구를 넣고 이걸 미세하게 컨트롤해서 켠 다음 그림을 그리는 거죠. 야구장이나 축구장 전광판과 원리 자체는 동일합니다.
이 OLED의 강점은 전구가 곧 화면이기 때문에, 검정 색상을 표현할 때 해당 부분에 불을 그냥
끌 수 있습니다. 그래서 10만:1 정도의 명암비가 나오게 되죠. LCD의 명암비는 1000:1 정도로 큰 차이가 납니다.
문제는 번인과 가격입니다. 번인은 화면을 너무 전구가 타버리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요즘 스마트폰을 보면 번인이 있는 경우가 많지는 않죠. 점점 개선되는 추세입니다. 그리고 최대 밝기를 LCD보다 낮춰도 명암비가 높아서 화면은 잘 보입니다. 이런 이유로 OLED폰에서는 다크 모드를 많이 쓰죠. 눈도 편하고, 전기도 더 아낄 수 있습니다.
더 문제는 가격입니다. 진짜 개비쌉니다. 그래서 LCD지만 전구 크기를 줄여서 올레드와 비슷하게 만드는 미니 LED 같은 대안 기술도 등장하고 있죠. 물론 품질은 OLED 수준은 아닙니다. 어디까지나 대안이죠. 그런데 만약, 올레드 가격이 충분히 낮다면 어떨까요? 올. 레. 드.
자, 여기서부터 광고입니다. 이 제품은 요가 슬림 7 프로 올레드입니다. 기존 요가 슬림 7 프로 모델에서 화면을 올레드로 바꾼 제품이죠. 긴말 없이 화면 차이를 보여드리겠습니다. 검은 화면에서 큰 차이가 나죠.
최근까지는 OLED 화면을 장착한 노트북이 많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몇가지 노트북이 올레드를 달고 나오고 있죠. 그런데 200만원 이상으로 조금 부담스럽습니다. 제가 리뷰하는 이 제품은 최고 사양은 160만원대, 해상도를 조금 낮추면 130만원대, 프로세서를 라이젠 5로 바꾸면 심지어 110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요가 슬림 프로 7 올레드 AMD 모델은, 가성비가 뛰어난 AMD 프로세서를 탑재해서, 비교적 가격을 낮춘 제품입니다. AMD 칩셋 성능에 대해서는 잘 아시죠. 멀티코어 성능이 아주 뛰어납니다. 우리가 쓰는 스마트폰들처럼 여러 코어가 일을 나눠서 하는 구조죠.
제가 리뷰한 제품은 AMD 라이젠 7 5800H를 탑재한 모델입니다. AMD의 또 다른 장점이라면 GPU도 만드는 기업이기 때문에, 내장 GPU만으로도 꽤 괜찮은 성능을 낼 수 있다는 건데요. 자, GPU 하면 게임이죠. 민속놀이들은 기본이고요.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 등은 무난하게 돌릴 수 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노트북이 헬기가 되지만 실행 자체는 쾌적합니다.
디스플레이 주사율은 초당 화면이 몇번이나 나오느냐를 말하는 지표인데요. 일반 모니터는 60Hz, 이 제품 주사율은 90Hz입니다. 보통 OLED 패널은 비싸기 때문에 고주사율을 탑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요. OLED지만 높은 주사율을 지원해서 화면이 비교적 부드럽습니다. 해상도 역시 2.8K 수준이라 게임을 켜보면 적이 더 잘 보이고 부드럽게 보이게 되죠. 그래 봤자 저처럼 게임을 못하면 못 이깁니다. 대신 장비 탓은 할 수 없게 되죠. 그럴때는 우리편 탓을 하면 됩니다. 오늘도 젊은 친구들이 부모님 안부를 물어봐주네요. 야 우리 부모님 잘 지내니까 자꾸 물어보지 마라.
하드웨어적으로는 이렇게 이름만 들어도 성능을 알만한 제품을 사용했는데요. 제가 이 제품을 사용하면서 더 인상적이었던 것은 전용 소프트웨어였습니다.
우선, 윈도우 같지 않은 기능인 플립 투 부트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윈도우 노트북은 왠지 전원을 켜먼 느낌이죠. 자, 자 이제 간다. 갈 거야. 이제 켜질 거야. 켜진, 켜진…자 이제 간다. 이런 느낌이죠. 플립 투 부트는 열면 바로 켜진다는 뜻입니다. 이런 느낌이죠. 자 간 어?
이 전면 카메라는 스마트폰처럼 얼굴 굴곡을 3D로 인식한 뒤에 이 얼굴이 보이면 잠금을 해제해줍니다. 그래서 가끔 술 먹은 다음날 얼굴이 순대가 되면 인식이 안됩니다.
이 기능을 활용한 또 다른 기능도 있는데요. 글랜스라고 부르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있냐 아니냐를 인식해서 화면을 안 보고 있을 때는 뿌옇게 만들어줍니다. 외장 모니터를 연결해놓으면 외장 모니터까지 뿌옇게 해 주죠. 여러분 해킹 중에 제일 치명적인 기법이 뭔지 아십니까? 훔쳐보는 겁니다. 진짜예요. 그래서 다른 사람이 훔쳐보면 화면을 또 뿌옇게 만들어줍니다.
이 반응속도는 앱에서 조정할 수 있는데요. 극한으로 조정하면 이렇게 활용할 수도 있죠.
요즘은 회사보다는 집이나 카페에서 일하는 분들이 많으시죠. 여러분 잘 아시겠지만, 직원들보다 가족들이 화면 보는 게 더 싫습니다. 엄마한테 들키면 어머니가 많은 걱정을 하시죠.
이외에도 레노버의 게이밍 PC에서나 볼 수 있었던 Q컨트롤 같은 기능도 탑재돼 있습니다. 팬 속도를 조정해주는 건데요. 이렇게 펑션+Q를 눌러서 모드를 바꾸면 발열을 빨리 해소해줍니다. 무거운 작업을 뜨겁게 할 수 있습니다. 추울 때 사용하시고요. 게임이나 크리에이티브 툴 사용할 때도 추천드립니다.
자 그럼 이 제품을 살 것이냐 말 것이냐.
발열 모드가 싫으신 분, 사지 마세요. 노트북 녹게 놔두세요.
무조건 LCD가 좋으니까 그런 거 뭐하럭 썩! 하시는 분. 사지 마세요. 요가 슬림 7 프로에는 LCD 모델도 있습니다.
가족이 모니터를 보는 게 싫으신 분, 사세요. 완벽합니다.
동영상과 게임이 취미인 분, 사세요. 동영상에는 OLED입니다.
자 다음 시간에도 유용한 지식과 쓸모없는 개그로 찾아뵙겠습니다. 구독, 팔로우는 됐고 좋아요는 좀 부탁드립니다. 광고 한번 더 받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종철 기자> jude@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