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생각] 대환대출 플랫폼, 금융사가 잊지말아야 할 것
[무료 웨비나]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플레어를 소개합니다
◎ 일시 : 2025년 2월 6일 (목) 14:00 ~ 15:00
[무료 웨비나] 중동의 ICT 및 테크 기업 생태계 – 사우디 아라비아, UAE를 중심으로
◎ 일시 : 2025년 1월 23일 (목) 14:00 ~ 15:10
올해만 두 번째. 시중은행의 밥그릇 지키기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다. 상반기에는 핀테크 기업들에게 마이데이터 정보를 다 줄 수 없다고 으름장을 놓은 데 이어, 이번에는 정부가 추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에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다행히 마이데이터 정보제공은 금융당국이 중재하고 나섰다. 금융사가 우려하던(?) 사용자 개인정보보호가 이뤄지는 선에서 핀테크 기업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하지만 대환대출 플랫폼의 경우 이야기가 다르다. 마이데이터와 달리, 법적 강제성이 없어 금융사와 핀테크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야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다.
당국이 계획하고 있는 그림은 사용자가 핀테크 플랫폼에서 여러 금융사들의 상품을 비교해 더 좋은 금리의 대출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금융사들이 플랫폼 기업에게 대출상품, 상환정보 등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은행들은 핀테크 기업에게 종속될 수 있다는 이유로 두 차례나 반기를 들었다. 첫 번째는 은행연합회를 통해 독자적인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체 대출상품이 아닌 중금리 대출만 정보를 제공하고 싶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러한 은행들의 태도는 서비스 취지와 맞지 않을 뿐더러 이기적인 모습이다. 제1금융권의 경우 고금리대출을 더 많이 취급한다. 즉, 보유하고 있는 대출 정보 상당수를 제공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될 경우, 대환대출 플랫폼을 이용하는 중저신용자는 금리가 낮은 고신용 상품으로 갈아타기 어렵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중개하는 상품이 많을수록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편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은행이 비협조적인 것은 두 가지 우려 때문이다. 먼저 핀테크 플랫폼에서 대환대출 서비스가 활성화될 경우 은행이 핀테크 기업에 줘야 하는 수수료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보통 수수료는 건별로 지급하고 있어 건수가 많아지면 수수료도 함께 증가한다.
두 번째는 플랫폼 종속 문제다. 이미 송금, 계좌확인은 상당 부분 은행 앱이 아닌 플랫폼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은행의 주요 수익모델 중 하나인 대출까지 플랫폼 기업에게 넘어간다면 은행들은 자생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와 두려움이 큰 상태다.
그러나 이건 어디까지 은행만의 문제다. 은행들의 핀테크 기업에 대한 견제로 발생하는 피해가 고스란히 사용자들에게 전가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스스로 문제를 떠안고 해결해야 한다. 안타까운 점은 마이데이터 논쟁과 대환대출 논쟁 모두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체인 사용자는 빠졌다는 점이다.
은행들이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어디까지나 사용자를 위해 당국이 계획하고 있는 서비스다. 당국이 목표한 서비스 일정까지 길어봤자 두 달 정도 남았다. 현 금융위원장의 임기도 얼마 남지 않은 상태다. 고객들에게 선택 받고 싶다면 하루 빨리 협조해야 할 것이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금융당국이 하는 짓꺼리 보면 멍청하기 짝이 없는 것들인데… 생각없는 것들이 추진한다고 무조건 따라야 되나? 은성수한테 돈받고 기사 쓰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