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점화된 금융업권 플랫폼 갈등…대환대출 플랫폼이 뭐길래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대환대출 플랫폼을 두고, 금융업권간 이견을 보이고 있다. 대환대출은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아, 이전에 받은 대출금을 갚는 제도다. 즉, 여러 금융기관의 비교를 통해 금리가 낮은 곳으로 대출을 옮기는 것을 말한다. 당초 금융위원회는 사용 활성화를 위해 핀테크 플랫폼을 중심으로 대환대출 서비스를 시행하려 했으나, 일부 시중은행들이 난색을 표하면서 계획이 백지화됐다.

23일 금융결제원 관계자는 “대환대출 플랫폼을 어떤 방식으로 구현할지에 대한 논의는 현재 멈춘 상태”라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업무계획 중 하나로, 오는 10월 금융 소비자들이 낮은 금리 대출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인프라를 구축하고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하나의 시스템에서 여러 금융기관 대출상품 금리를 비교하고 이동을 중개할 수 있는 플랫폼 서비스다.

금융위원회가 구상한 대환대출 플랫폼

당초, 금융당국은 대환대출 플랫폼으로 핀테크 서비스를 활용할 계획이었다. 기존에 핀테크 서비스들이 운영하던 대출비교 서비스와 비슷할뿐더러,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시중은행들이 자사 뱅킹 앱에서 타사 은행상품을 소개하고 판매할지 미지수다. 지금까지 시중은행들은 타사 서비스, 상품을 연계한 사례가 없다.

이러한 가운데 일부 시중은행들은 핀테크 중심의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자칫하면 대환대출이 핀테크 플랫폼에 종속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일각에서는 핀테크 기업에게만 유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표현까지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한 대환대출 플랫폼을 만들고 싶다는 의견도 제시했으나, 이마저도 내부에서 이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금융기관 사이에서도 대환대출 플랫폼에 대한 입장 차가 극명하다. 분위기 상 표면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있으나 저축은행, 캐피탈 등 제2금융권은 대환대출 플랫폼에 긍정적인 입장이다. 주 사업모델이 대출인 만큼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지방은행도 그동안 영업에 지역적 한계가 있었던 만큼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를 기회로 보고 있다.

따라서 금융결제원은 은행연합회에 전체적인 의견을 취합해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금결원 관계자는 “은행들이 대환대출 플랫폼을 원하는지 요구사항을 들어보라고 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몇몇 시중은행은 금융 당국이 기존 계획의 방향을 틀고, 은행을 중심으로 한 대환대출 플랫폼을 만들 수 있도록 허용해줬으면 하는 분위기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확정된 건 없으나 금융 당국이 은행, 핀테크, 제2금융권 등 여러 업권 별로 의견을 듣고 있는 중으로 알고 있다”며 “당국에서 여러 기관들의 의견을 듣고 입장을 반영해 줄 것으로 보인다”며 조심스럽게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편, 금융당국이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 출시시기를 10월로 잡은 만큼 현재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은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금결원 관계자는 “은행들 간 대환대출을 비교할 수 있는 서비스 구축은 목표했던 10월에 완료될 것으로 보이며, 제2금융권은 12월 끝날 예정”이라고 전했다. 반면, “핀테크 기업은 현재 해결되지 않는 문제로 인해 개발을 못하고 있다”며 은행들과의 논의 후 개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