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미국 최대 ESS에 신제품 납품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ESS(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 신제품 ‘TR1300 배터리 랙’을 세계 최대 규모의 ESS 프로젝트에 공급했다고 밝혔다. 해당 제품은 미국 발전업체 비스트라(Vistra)가 캘리포니아주 몬트레이 카운티의 모스랜딩 지역에 가동하고 있는 1.2GWh 규모의 전력망 ESS에 사용된다.

미국의 발전사인 비스트라(Vistra)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몬트레이 카운티 모스랜딩(Moss Landing) 지역에 가동 중인 모스랜딩 발전소 전경. (출처: LG에너지솔루션)

ESS(Energy Storage System)란 에너지를 저장해 놓고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을 말한다. ESS를 도입하면 간헐적으로 생성되는 신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이 비스트라에 납품한 배터리는 신제품 ‘TR1300 배터리 랙’이다. 해당 제품에는 고성능 배터리 셀이 적용돼 있다. 배터리 랙이란 리튬이온 배터리의 기본 단위를 하나의 팩으로 구성한 여러 개의 ‘배터리 팩’을 또 다시 하나로 묶은 것을 말한다. 특별히 TR1300는 한 공간에 두 개의 랙을 적재할 수 있는 ‘2단 적재(Double Stacked)’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공간 효율성은 높이고, 단위 면적 당 에너지 밀도는 향상됐다.

또한 ESS 운영 시 문제가 됐던 화재 안전 표준도 충족했다.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TR1300 랙은 안전인증회사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화재 전이 안전성 표준 테스트를 통과했다. 그뿐만 아니라 지진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TR1300을 출시한 것은 결국 전체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ESS 시장의 성장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LG에너지솔루션은 지속해서 안전성을 확보해 나가 화재 걱정 없는 ESS향 배터리를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배터리 업체들은 지속해서 ESS 관련 기술을 개발해 나가고 있으며 ESS향 배터리도 꾸준히 출시하고 있다. 그만큼 ESS시장이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0년 미국 전력망 ESS 시장 규모는 6.5GWh로 세계 ESS 전력망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2025년에는 55.3GWh까지 성장할 것이며 연평균성장률 54%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다만 ESS향 배터리는 미국, 유럽, 호주 등을 타깃으로 삼은 것이며, 한국 시장에서는 큰 수요가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창민 KB증권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즉 풍력발전이나 태양광발전을 위해서는 넓은 부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한국에는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할 만한 부지가 없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를 활발하게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ESS 또한 큰 의미가 없다는 분석이다. 이창민 애널리스트는 “부지를 확보할 수 있는 국가에서 ESS 사업 또한 확장될 것이며, ESS향 배터리도 해당 국가를 타깃으로 삼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배터리 업계 1위를 달리고 있는 CATL은 ESS 시장 경쟁에 참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창민 애널리스트는 “CATL은 애초에 배터리 중에서도 차량용 배터리에 특화된 업체이고, 중국 업체들 자체가 ESS에 대해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며 “ESS는 전력 효율성이나 생산성이 아닌, 오로지 친환경에 의의를 두고 있다”고 전했다.

결국, ESS 사업은 미국 바이든 행정부 정책의 영향을 받으면서 지리적으로 부지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국가에서 주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K배터리 업체들도 해당 국가를 타깃으로 ESS향 배터리를 지속해서 납품하고, 제품군을 개발해 나갈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세계 최대 규모의 ESS 프로젝트에 ESS 배터리 신제품 ‘TR 1300’랙을 공급했다. (출처: LG에너지솔루션)

신영준 LG에너지솔루션 ESS 사업부장 전무는 “세계 최대 규모의 ESS 프로젝트에 배터리를 공급함으로써 차별화된 ESS 배터리의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며 “품질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해 글로벌 ESS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배유미 기자> youme@byline.network

관련 글

첫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