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사업 합치는 카카오, 목표는 역시 ‘글로벌’

카카오가 콘텐츠 자회사인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을 하나로 묶기로 했다. 한쪽은 웹소설과 웹툰을, 다른 한 쪽은 음악과 영상 콘텐를 주로 다루던 곳이다. 두 회사가 하나로 합쳐지면 연매출 1조원 규모의 공룡 콘텐츠 기업이 탄생하게 된다. 목표는 역시 글로벌이다. 세계 무대를 겨냥한 슈퍼 IP(지적재산권) 사업을 하겠다는 것이 합병의 목표다.

카카오페이지(대표 이진수)와 카카오M(대표 김성수) 25일 각 이사회를 열고양사 합병을 결의했다고 밝혔다신규 합병법인명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이며양사는 26일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최종 승인을 거친 뒤 3월 1일 합병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두 회사의 합병 비율은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이 각 1대 1.31이다. 카카오M의 보통주 한 주당 카카오페이지의 보통주 1.31주가 배정된다. 한 주당 가액을 표기하는 합병비율은 양사의 기업가치와 발행주수를 반영한 것으로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의 기업가치는 1:0.6으로 책정됐다

카카오 입장에서 이번 합병은 규모나 가치 면에서 남다르다. 그동안 카카오 계열사 간 합종연횡은 있어왔지만 이번이 제일 규모가 크다. 각자 수천억원의 매출을 내는 두 회사가 합져지면 연매출 1조원을 바라보는 공룡 계열사가 탄생한다.

또, 종목이 ‘콘텐츠’라는 부분도 의미심장하다. 카카오는 국내에서 카카오톡 메신저를 기반으로 생활 전 영역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가져왔지만, 글로벌 진출에 있어서는 생각만큼 큰 힘을 쓰지 못했다. 그 판도를 뒤집은 것이 콘텐츠다. 일본의 픽코마(카카오재팬이 운영하는 웹툰 플랫폼)를 시작으로 북미 지역까지 영향력을 넓히고 있는 것이 카카오의 웹툰과 웹소설 콘텐츠다.

카카오페이지 측은 관련해 “엔터테인먼트 업계 초유의 이번 합병은, IT, 유통 대기업들이 콘텐츠 신흥 강자로 도전장을 내미는 등 격전이 펼쳐지고 있는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경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며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은 양사 합병을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성수 카카오M 대표(왼쪽)와 이진수 카카오페이지 대표.

카카오 콘텐츠 그룹이 그리는 그림


이진수 대표는 카카오 김범수 의장의 곁을 20년간 지켜온 최측근이다. 카카오페이지의 전신인 포도트리 시절부터 김범수 의장이 이진수 대표에게 힘을 실어줬다. 지금은 카카오페이지가 글로벌로 뻗어나갈 만큼 성공했지만, 초창기 포도트리는 그렇지 못했다. 어려운 시절에 김 의장이 이 대표를 믿어줬다. 이후 이진수 대표는 ‘기다리면 무료’와 같은 유료 솔루션을 웹소설에 접목해 소위 대박을 쳤다. 카카오 내부에서는 이진수 대표의 비즈니스 감각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김성수 대표는 제일기획 출신으로 온미디어와 CJ E&M의 대표를 역임하며 방송 연예 콘텐츠 부문에서 괄목할 성과를 낸 인물이다. CJ E&M 대표 시절, 대규모 합병 콘텐츠 기업을 이끈 경험도 있다. CJ E&M은 CJ엔터테인먼트와 CJ미디어가 합쳐진 회사다. CJ그룹의 엔터테인먼트 계열사들이 합병한 것을 경영한 것인데 카카오 콘텐츠 자회사의 합병과 그림이 겹친다. 김성수 대표는 CJ E&M 시절에도 이 회사를 경영하며 영화, 방송(드라마, 예능 등), 음악, 공연, 애니메이션 등 서로 다른 장르가 고루 성장하도록 이끌었다.

카카오는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의 합병의 기본 그림을 “양사가 축적해 온 IP 비즈니스 역량과 플랫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강력한 시너지를 창출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확보한다”로 그렸다. 그리고 이런 그림을 그리는 사령탑에 두 대표가 적임자라고 판단했다. 한 명은 서로 다른 분야의 콘텐츠를 융합해 기업을 이끌어 성공시켜 본 경험이 있고, 다른 한 명은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탁월한 재능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카카오페이지 관계자는 “김성수 대표는 CJ E&M과 온미디어를 거치면서 콘텐츠 미디어 쪽에서는 빼놓고 말할 수 없는 인물이고 이진수 대표는 모바일 콘텐츠에 유료화를 접목해 성과를 내는데 굉장한 역할을 한 인물”이라며 “김범수 의장의 신뢰를 받고 있는 이진수 대표가 카카오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김성수 대표와 같이 꾸려간다는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합병 이후 각사가 가진 콘텐츠 포트폴리오와 벨류체인을 결합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갖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일단 두 회사가 가진 네트워크의 수가 상당하다. 합병으로 인해 연결되는 자회사와 관계사만 50여개에 달한다. 엔터·콘텐츠 산업내 파트너들과의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은 물론원천 스토리 IP 확보를 위한 CP(Contents Provider)와 가수와 배우 등 아티스트음악·드라마·영화·공연의 기획·제작사에 이르기까지 엔터테인먼트 전 분야와 전 장르를 아우르는 밸류체인을 확보했다

카카오 측은 이를 바탕으로 과감한 투자와 전략적 제휴를 지속 추진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리딩 컴퍼니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아울러 양사가 축적한 IP 비즈니스 노하우와 역량을 기반으로엔터테인먼트 전 분야에 걸쳐 콘텐츠 IP의 확장과 사업 다각화를 추진한다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강력한 슈퍼 IP의 기획 제작에 역량을 집중하는 동시에차별화된 콘텐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시너지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이 회사 측은 설명했다.


네이버와는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콘텐츠를 들고 세계로 향하겠다는 그림은 네이버가 최근 북미 최대 웹소설 플래폼 ‘왓패드’를 인수하며 발표한 모습과 유사한 부분이 있다. 두 회사는 모두 콘텐츠를 무기로 세계 시장에 나서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그리고 성과를 내고 있다. 더 큰 성장의 발판 마련을 위해 인수합병으로 덩치를 키우고, 자신들의 생태계 안에서 ‘웹소설-웹툰-영상’으로 이어지는 밸류체인을 만든다는 그림을 그리는 것도 역시 같다.

[관련기사: 네이버가 글로벌 웹소설 플랫폼 인수로 얻는 이득 세 가지]

그러나 구체적 방향성을 놓고 보면 다른 부분이 눈에 띈다. 네이버는 현지의 파트너를 확보해 현지 콘텐츠로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힌다는 계획을 세웠다. 왓패드 인수가 그런 케이스다. 왓패드는 영미권에서 가장 많은 아마추어 작가를 확보한 곳이다. 국내로 따지자면 문피아나 조아라와 유사한 플랫폼이라고 볼 수 있다.

네이버는 미국에서도 ‘캔버스’라고 하는 현지 신인작가 등용문을 운영 중인데, 왓패드에서 발굴한 콘텐츠를 캔버스의 작가와 연결시켜 웹툰화 하고, 왓패드가 가진 영상 제작 역량을 붙여 드라마나 영화로 IP를 확장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카카오의 경우에는 국내에서 인기를 얻은 콘텐츠를 글로벌로 들고나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카카오페이지의 콘텐츠를 카카오M의 제작 역량으로 영상까지 만들어 성공한 작품을 현지화시키는 걸 고려한다.

대표적 사례가 다음웹툰에서 큰 인기를 얻어 드라마로 만들어진 ‘이태원클라쓰’이다. 이 작품은 국내에서 인기를 얻은 후 일본에서 ‘롯폰기 클라쓰’로 공개됐다. 국내에서 성공한 IP를 다른 나라로 들고 나가 현지화한 사례다. 카카오는 이 방식이 앞으로도 계속해 먹힐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래서 지분 인수를 진행한 곳도 ‘타파스(웹툰 플랫폼)’나 ‘래디쉬(웹소설 플랫폼)’처럼 유료로 콘텐츠를 공급하는 유통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을 활용해 국내에서 인지도를 쌓은 콘텐츠를 글로벌로 공급하는 것이 카카오의 콘텐츠 사업 방향성이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

관련 글

첫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