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위해 정부가 내놓은 전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24일 제16차 4차산업혁명위원회 회의에서 ‘데이터 경제와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한 클라우드 산업 발전 전략’이 심의·확정됐다고 밝혔다.
최근 정부는 디지털 뉴딜의 핵심과제 중 하나로 ‘데이터 인공지능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데이터의 수집 축적 활용이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설계되는 만큼, 인공지능시대 데이터 활용과 포스트 코로나시대의 클라우드는 핵심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클라우드 산업 발전 전략의 핵심 목표로 ‘국가 클라우드 대전환’과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 강화’로 정하고, 크게 네 가지의 발전전략을 마련했다.
먼저, 정부는 공공부문을 클라우드로 전면 전환해 행정업무와 대민 서비스를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신규로 도입하거나 내용연수가 만료된 시스템부터 단계적으로 클라우드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 민간의 최신 클라우드 기술이 활용될 수 있도록 기관별 컨설팅과 선도사업 등을 병행 추진한다. 국가가 시행하는 빅데이터 분석이나 인공지능 기업 지원 사업에도 클라우드 기업이 참여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 민간의 클라우드를 공공부문에 효율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조달체계도 변화를 줄 예정이다.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 이외에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등 신기술과 클라우드가 융합된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는 디지털서비스 개념을 도입한다. 디지털서비스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기존의 ‘공고-입찰-계약’ 방식이 아닌,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신속하게 ‘검색-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마련한다.
특히, 디지털서비스 관련 업무를 소관하는 관계부처와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디지털서비스 전문위원회’에 선정된 디지털 서비스에는 금액 제한이 없는 수의계약을 허용할 방침이다.
세 번째로, 민간부문은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이용 지원에 초점을 맞춘다. 기존에 기업당 최대 300만원을 지원하던 ‘중소기업 클라우드 이용료 지원 사업’을 바우처 사업으로 확대해 컨설팅, 전환지원, 이용료를 종합적으로 지원(기업당 2000만원)한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서비스 수를 확대하는 ‘클라우드 플래그십 사업’을 추진한다. 국내에서도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을 중심으로 다수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으로 구성된 선단형 기업군이 협력해 산업 분야별 서비스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2020년에 5개 분야(분야별 50억)를 우선 선정해 지원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핵심산업 및 공공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개발되고, 선단형 기업군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산업 협력 생태계가 형성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외에도 발전전략에는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도입환경 개선, 기업 간 협업체계 구축 등 다양한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뉴딜이 일자리 창출과 미래 변화를 선도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며, 클라우드는 이를 완성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로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중요하다”면서 “이번 클라우드 산업 발전 전략을 통해 공공과 산업 전반에서 데이터와 인공지능이 활용하는 디지털 전환의 계기가 마련되어 빠르게 경제가 회복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첫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