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플러스 8 프로의 뜬금없는 엑스레이 사진 모드 해프닝
[무료 웨비나] 중동의 ICT 및 테크 기업 생태계 – 사우디 아라비아, UAE를 중심으로
- 일시 : 2025년 1월 23일 (목) 14:00 ~ 15:10
원플러스 폰에서 엑스레이 사진과 같은 투과 사진을 찍는 모드가 발견돼 화제가 되고 있다. 제품은 지난 4월 출시됐던 OnePlus 8 Pro이며, 기본 모드 중 Photochrom 필터에서 발생한 현상이다.
Ben Geskin 등에 따르면, 원플러스의 사진은 얇은 플라스틱이나 티셔츠 등을 투과해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TV 셋톱박스나 일반적인 리모컨 등의 속 부품이 약간씩 보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가 있다.
https://twitter.com/BenGeskin/status/1260607594395250690
결과물은 X선 사진과 유사하지만 같은 방식은 아니다. X선 사진은 전자기파 복사선을 이용한 것으로, 전자기파를 발생시킬 때 방사선을 활용하므로 신체에 좋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원플러스의 폰은 적외선을 활용해 촬영하므로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해당 필터는 약간의 원근감을 넣어 특이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모드다. 예를 들어 이 모드로 사진을 찍으면 나무가 하얗게 보이게 하거나, 검은 부속품의 금속 질감을 살려 다른 색을 입히는 등의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비현실적인 사진 모드를 만드는 필터로, 이 부분을 담당하는 별도의 500만화소 컬러 필터 카메라가 있다. 나머지 카메라는 3배 망원, 4800만화소 초광각 겸 매크로, 4800만화소 일반 카메라로 구성돼 있다. 보통의 렌즈 네개 카메라와 달리 컬러 필터 카메라가 있는 구성이 매우 특이하다. 스냅드래곤 865, 120Hz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등 플래그십 킬러다운 면모의 스마트폰이다. 가격은 899달러(약 110만원)로, 다른 플래그십 폰들보다는 여전히 저렴하다.
문제는 이 카메라들을 구동할 때 일반 카메라가 아닌 적외선 기술까지 사용했다는 점이다. 가시광선을 통해서 볼 수 있는 것만 보는 것이 일반적인 카메라인데 반해, 적외선 카메라는 가시광선이 닿지 못하는 영역까지 찍을 수 있었다는 문제가 있다. 적외선 카메라는 위조지폐를 감지하는 등 좋은 용도로 쓸 수도 있지만, 반대로 투과를 통해 개인 정보를 침해하는 문제도 생길 수 있다.
다수 유튜버들과 원플러스 포럼을 통해 얇고 가벼운 플라스틱 대부분은 투과 촬영이 가능하며, 얇은 티셔츠 등도 투과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원플러스는 이에 자사 웨이보 계정을 통해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해당 모드를 비활성화한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 해당 내용이 적용된다. 또한, 이 모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도 덧붙였다.
원플러스 8 프로는 국내 출시되는 제품은 아니지만, 직구 등을 통해 충분히 들여올 수 있는 만큼, 사용자가 양심적으로 주의하며 사용해야 하겠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종철 기자> jude@byline.network
첫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