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쇼크, ‘온라인’이 유통업계 절반 먹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20년 2월 유통업체의 매출을 조사한 결과 전체 매출 10조6000억원 중 ‘온라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49%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구성비 기준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9.2%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온라인이 유통업계의 절반을 잡아먹었다.

2020년 2월 유통업태별 매출구성(%) 전년동기 대비 비교. 온라인이 유통판의 절반을 잡아 먹은 모습이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2월 온라인 매출 급성장의 원인으로 ‘코로나 19 확산’을 꼽았다. 대면접촉을 꺼리는 문화가 확산되며 오프라인 유통 매출은 감소하고, 온라인은 반사이익을 누렸다는 분석이다.

특히 식품(전년 동월대비 92.5% 증가)과 마스크, 위생용품이 포함된 생활/가구(전년 동월대비 44.5% 증가) 카테고리가 온라인 매출 신장을 이끌었다. 이 외에도 온라인 전 상품 카테고리의 매출이 증가하여 전체 매출 증가(34.3%)에 영향을 줬다.

동기간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화점의 매출 감소폭이 21.4%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형마트가 10.6% 감소로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외출을 자제하는 사회분위기의 영향으로 의류/잡화 카테고리의 매출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백화점에서는 해외유명브랜드(4.2% 매출 상승)를 제외한 여성캐주얼(41.3% 감소), 아동스포츠(37.2% 감소), 가정용품(4.8% 감소) 등 전 카테고리에서 매출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대형마트에서도 의류(46.5% 감소)와 잡화(41.5% 감소), 가전/문화(20.9% 감소) 카테고리의 매출이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오프라인 유통 전반에 닥친 악재에서도 편의점과 SSM(준대규모점포)의 매출은 각각 7.8%, 8.2%씩 소폭 상승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근거리 점포 소비가 확산돼 ‘식품’, ‘생활용품’ 매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편의점에서는 ‘마스크 및 안전상비의약품 판매 증가’로 생활용품 매출이 33.2%로 크게 늘었다. SSM은 가정식 수요 증가로 농수축산(5.9%), 신선·조리식품(7.8%), 가공식품(11.1%) 등 식품 카테고리 소비 증가가 매출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0년 2월 전년동월 대비 유통업체 매출증감률(%) 추세(자료: 산업통상자원부)

2월 전체 오프라인 유통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는 2016년 6월 주요유통업체매출동향 통계개편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오프라인부분 감소폭이라는 설명이다. 반면, 2020년 2월의 온라인 유통 부분 성장세(34.3%)는 통계개편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의 매출 동향 조사는 26개의 온오프라인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한다. 백화점 3사(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대형마트 3사(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편의점 3사(CU, GS25, 세븐일레븐&바이더웨이), SSM 4사(이마트에브리데이, 롯데슈퍼, 지에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온라인 유통업체 13사(이베이코리아-지마켓, 옥션, 11번가, 인터파크, 쿠팡, 이마트, 신세계, 에이케이몰, 홈플러스, 갤러리아몰, 롯데닷컴, 롯데마트몰, 위메프, 티몬)의 경상 매출액을 기준으로 조사, 분석했다. 통계청의 서비스업동향 및 온라인쇼핑동향과는 지표의 포괄범위, 표본 등이 서로 달라 양 기관 자료간 증감 크기나 방향 등이 상이할 수 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엄지용 기자> drake@byline.network

관련 글

첫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