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크롬캐스트는 애플TV의 형태, 구글이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크롬캐스트의 새 버전은 안드로이드 OS 기반 셋톱박스가 될 예정이다. 유출된 외형은 크롬캐스트 울트라 버전과 유사하다.

사용자들이 TV에서 유튜브를 보기 위해 사용하는 건 주로 크롬캐스트지만, 구글은 2014년 셋톱박스형 안드로이드 TV를 판매한 적도 있었다. 이름은 넥서스 플레이어로, 크롬캐스트와 다르게 스마트폰급 하드웨어를 갖추고 있다. 램과 내장메모리 역시 존재한다. 이 제품은 안드로이드9.0 파이까지 업데이트될 정도로 꾸준히 사후지원을 하는 제품이다. 사용 용도는 애플TV와 유사하다. 실시간 채널을 볼 수 있고, 크롬캐스트처럼 스마트폰의 영상을 연결해서 볼 수 있으며, 미러링, 앱 설치 등이 가능하다. 컨트롤러도 별매로 제공해 일반적인 안드로이드 게임을 TV로 할 수 있다. 즉 일반 TV를 스마트 TV처럼 만들 수 있다.


넥서스 플레이어의 신제품은 몇 년간 등장하지 않았지만, 서드파티가 만든 안드로이드 셋톱박스 제품은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주로 안드로이드 TV 박스로 부른다. 이후 케이블TV와 안드로이드 TV가 결합된 딜라이브 TV 제품이나, IPTV에 안드로이드 TV를 결합한 U+ TV G 등도 출시됐다. 따라서 2만원대의 저렴한 가격으로도 안드로이드 TV 셋톱박스를 설치해 사용할 수 있는 편이다. 요즘은 소니 등 다양한 회사에서 이 안드로이드 TV를 내장한 TV를 판매하고 있기도 하다.
구글의 고민은 구글 어시스턴트와 게임, 정기결제 TV 서비스인 것으로 보인다. 애플이 정기결제 무제한 사용 게임(애플 아케이드)과 영상 서비스(애플 TV+)를 내놓았고, 이 서비스가 상당한 수익을 거뒀다. 그렇다면 원래부터 게임과 영상을 제공할 수 있었던 구글도 서비스를 고려해볼만 하다. 그러나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구글 어시스턴트의 확대다. 구글에게 스마트홈은 상당히 큰 의미이며, 스마트홈을 확대시키기 위해 저렴하게 스피커를 판매해왔다. 넥서스 플레이어는 리모컨에 마이크가 달려있어 리모컨으로 구글 어시스턴트를 실행할 수 있다. 폰에서 TV에 구글 어시스턴트로 명령을 내리는 방법도 있다.
일간 바이라인
매일 아침
바이라인네트워크의 편지를 받아주세요.
재미있는 이야기와 최신 정보가 배달됩니다.
또한, 안드로이드 TV는 유튜브 프리미엄 사용자에게도 적합하다. 유튜브 프리미엄의 경우 크롬캐스트만으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지만 폰 없이 리모컨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더 확대된다고 볼 수 있다.
리모컨의 경우 현재 미국의 전파인증과 같은 FCC 인증을 통과한 상태다.
https://twitter.com/jank0/status/1237426641044815878
유일한 문제가 있다면 가격이다. 4K 기능이 지원되는 크롬캐스트 울트라의 가격은 69달러로, 일반적인 크롬캐스트보다 두배 정도 비싸다. 새 안드로이드 TV가 크롬캐스트 울트라 정도의 가격이라면 국내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얻을 수 있겠지만 그것보다 비쌀 경우 사용자들은 중국산 안드로이드 TV 박스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저가 안드로이드 TV 박스 역시 넥서스 플레이어와 같은 기능을 활용할 수 있지만, 프로세서 성능이 조악해 게임을 하기 어렵고 구글 어시스턴트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구글이 애스키(Askey)와 협의해 지난 12월, 스트리밍 기기 개발자 킷을 발표한 바 있는데, 해당 제품이 새로운 안드로이드 TV와 비슷한 하드웨어를 갖춘 것으로 예상되며, 이 개발자 킷의 특징은 79달러였다. 쿼드 코어 1.8GHz CPU, 4K 60FPS 출력, 내부 저장소 8GB, 램 2GB의 출력을 갖추고 있으며 리모컨에 구글 어시스턴트 기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구글의 신제품은 79달러 이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종철 기자> jude@byline.network

LLM과 LangChain으로 만드는 차세대 챗봇
- 내용 : 지금까지 발전해온 챗봇의 역사를 살펴보고, LangChain 이 도입된 이후 챗봇의 미래가 어떻게 바뀔지 논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일시 : 2023년 10월 5일 14시
첫 댓글